지난 20년간 한국의 여성 고용지표(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가 OECD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가 OECD 38개 국가의 여성(15~64세)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한국 여성들의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각각 61.4%, 63.1%로 OECD 하위권(38개국 중 각각 31위)에 머물렀다.
지난 20년간(2003~2023년) OECD 순위를 살펴보면, 한국의 여성고용률은 2003년(51.2%) 27위에서 2023년(61.4%) 31위로 4계단 하락했으며, 20년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 고용률은 10%p 늘었지만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서는 뒤처졌다는 의미다.
한국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2003년(53.0%) 32위에서 2023년(63.1%) 31위로 1계단 올랐으나 여전히 OECD 하위권이었으며, 20년간 31~35위 사이에 머물렀다.
우리나라에서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경제규모와 인구가 유사한 주요 선진국보다 더 낮았다.
한경협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육아·가사 부담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선진국 수준으로 여성 고용을 확대하려면 여성들이 일·가정 양립 부담을 덜고 경제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경협은 여성 고용 선진국가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여성고용률이 70%를 넘는 독일, 일본, 영국 3개국과 한국 간 고용환경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3개국에 비해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 가족돌봄 지원의 2가지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이 선진국처럼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자녀를 가진 여성인력 일자리의 유지와 확대가 중요하다”라며, “근로시간 유연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근로환경 조성과 함께 가족돌봄 지원을 강화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촉진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