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트럼프호텔 앞에서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폭발한 사건으로 테슬라의 개인 정보 수집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테슬라가 차량으로 수집한 정보를 당국에 제공해 이번 폭발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됐지만, 운전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정보가 과도하게 수집되는 데다 당국의 데이터 접근에 대한 규정이 거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사고 발생 직후 지난 2일 수사 당국이 사고 차량 잔해에서 데이터 및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팀을 보냈다.
그는 또 용의자인 사고 차량 운전자가 콜로라도주에서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까지 이동하는 동안 이용한 차량 충전소 영상도 제공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 언론이 전했다.
머스크 CEO는 사고 당일인 1일 엑스(X·옛 트위터)에 "이 사악한 바보는 테러 공격을 하는 데 있어서 차를 잘못 골랐다"고 적기도 했다. 사이버트럭이 각종 정보를 수집해 범죄 관련 동선 등을 완전히 알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주차 지원이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은 대부분 위치 정보나 카메라 영상에 접근하지만, 테슬라 차량의 경우 더 많은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고 WP는 보도했다. 운전 지원에 사용되는 카메라, 차량 내 컴퓨터, 미국 전역의 전용 충전소 정보 때문이다.
수사 당국은 사이버트럭 폭발사건의 용의자이자 운전자인 매슈 리벨스버거가 애리조나주의 테슬라 전용 충전소에서 차량을 충전하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을 공개하면서 이를 어떻게 입수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다만 머스크 CEO가 영상 등 데이터를 기록한 드라이브를 복구하는데 도움을 줬다고 밝혔다.
이에 이번 사건이 테슬라 등 차량이 얼마나 많은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는지를 보여준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제는 법 집행 당국이 언제 어떻게 차량 내 데이터에 접근할지 정하는 규제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경찰이 범죄 현장을 녹화했을 가능성이 있는 테슬라 차량을 찾아내 영장을 받아 차량을 견인한 사례도 있다.
보험사가 차량 회사가 공유한 운전 데이터에 근거해 보험료를 확인했다는 보도도 있다고 WP가 전했다.
비영리 재단인 모질라재단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업체 25곳 중 75% 이상이 운전자 데이터를 판매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은 수사당국이나 정부 요청이 있을 경우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감시기술 감독 프로젝트를 설립한 앨버트 폭스 칸은 WP에 "이것은 바퀴 달린 파놉티콘(원형 교도소)"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