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점포가 지난 1년 사이 50개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 추세는 2012년부터 12년동안 이어지고 있다. 당국은 점포 통폐합이 집중된 지방을 중심으로 우체국 등의 은행 대리업을 허용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말 국내 은행 점포수는 5,849개다. 1년 전보다 53개가 줄었다. 은행 점포수는 지난 2012년 4분기말(7,835개) 이후 매년 감소하고 있다.
올해도 시중은행들은 연초부터 점포 통폐합에 매진하고 있다. 농협은행은 작년 12월 38개 영업점을 통폐합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6일 영업점과 출장소 26곳을, 신한은행은 7일 30개 지점을 정리했다. 대부분 시중은행들이 연말연초에 지점을 정리하는 점을 고려하면 각 은행의 지점 통폐합은 이달 내내 이어질 전망이다.
은행권에선 금융거래의 무게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면서 '고비용-저효율' 시설로 전락한 지점의 통폐합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지점은 이제 송금과 이체, 공과금 처리 등 단순한 서비스 기능은 모바일 어플에 넘겨주고, 자산관리와 상담 등 고도화된 금융서비스를 처리하는 곳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전략적 거점들을 중심으로 지점을 대형화하는 방향으로 재편성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금융 소비자들은 이 같은 추세에서 지방 거주자와 고령층 등 금융 취약층의 불편이 커졌다고 호소한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지난달 발간한 '국내 은행 점포 분포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가 은행 이동해야 하는 거리는 지역별로 양극화됐다. 서울과 부산, 대전 지역 거주자는 이동거리가 1km를 넘지 않은 반면, 강원과 전남, 경북은 최대 27km를 이동해 점포를 찾아야 했다.
당국은 지점 축소에 따른 금융 접근성 해소를 위해 '은행 대리업'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우체국처럼 전국적으로 분포되어있고, 금융 인프라를 갖춘 시설에 은행 업무를 대행할 권리를 부여하는 방안이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6월부터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통해 은행대리업 시범 운영에 나선다. 시범 운영 후 성과 등을 검토해 은행법을 개정할 전망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