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허리에 해당하는 40대 취업자수가 감소세를 이어가 20여 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사회 인구구조 변화 뿐 아니라 이들이 주로 종사하는 건설업·도소매 등 내수 업황이 부진한 영향이다.
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취업자는 총 617만9천명으로, 전년보다 8만1천명 줄었다. 지난 2003년(605만명) 이후 가장 작은 규모로 쪼그라든 것이다.
지난해 감소폭은 2023년(-5만4천명)보다 확대됐다. 10여년 전 40대 취업자는 꾸준히 늘어 2014년 689만6천명까지 불어났지만, 이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2022년 소폭 증가한 것을 빼면 10년간 감소세가 가파르게 이어져 약 70여만개 일자리가 증발했다.
인구구조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40대 인구는 2014년(871만명) 정점을 찍고 10년 연속으로 감소해 지난해 781만명으로 줄었다.
고질적인 내수 부진 문제라는 분석도 나온다. 40대 종사자 비율이 높은 건설, 도소매, 부동산 등의 내수업종이 부진해 고용시장에 충격을 가했다는 것이다.
'이른 퇴직' 경향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55~64세 취업경험자가 가장 오랜 근무한 일자리에서 퇴직한 평균연령은 49.4세로 50세를 밑돌았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