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월급 상승세는 2년 연속 둔화했지만 소비자 물가는 '고공행진'해 근로 소득과 물가의 상승률 격차가 금융위기 후 최대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2023년(귀속연도)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천332만원이었다.
1년 전의 4천213만원과 비교하면 2.8% 증가했다. 코로나19가 본격화 한 2020년(2.3%)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근로소득 증가율은 2021년 5.1%까지 올랐지만 2022년(4.7%)과 2023년 2년 연속 둔화했다. 2.8% 증가율은 최근 10년 평균 증가율(3.6%)보다 낮다.
근로자 월급이 '찔끔' 늘었지만 물가는 큰 폭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2023년 소비자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상승했다. 2022년에도 5.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해 2년 연속 큰 폭으로 올랐다.
이에 근로소득과 소비자물가 간의 상승률 차이는 -0.8%포인트(p)를 기록했다. 2022년(-0.4%p)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다.
근로소득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밑돈 것은 2009년(-2.0%) 이후 2022년이 처음이고, 차이는 더 커졌다.
2023년 근로소득자의 세 부담은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국회와 정부가 서민·중산층 세 부담 완화를 위해 5천만원 이하 하위 2개 구간의 과세표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세법을 개정한 결과다.
이에 2023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428만원으로 전년 대비 6만원(-1.4%) 줄었다.
그러나 세 부담 완화 효과는 중·하위 소득자보다 최상위 소득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자 중 최상위 0.1% 구간 2만852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9억6천4만이었다. 이 구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3억3천290만원으로 전년 대비 1천836만원 감소(-5.2%)했다.
반면, 중위 50% 소득 구간 인원 20만8천523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천302만원이었다. 이 구간 소득자들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29만2천54만원으로 전년 대비 0.9% 늘었다.
임광현 의원은 "2천만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고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의 마이너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향상을 지원하는 조세·재정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