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연금 및 IRP 계좌 활용법: 퇴직연금으로 투자 가능한 상품은 원리금 보장형 상품과 실적 배당형 상품으로 나뉨.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는 은행의 정기예금, 증권의 ELB, 환매조건부 RP, 보험의 GIC 금리 연동형 상품 등이 있으며, 실적 배당형 상품에는 펀드, ETF, 리츠 등이 있음.
- 안정적인 성향 투자자 추천 상품: 안정적인 상품으로는 TDF 상품을 추천함. TDF는 Target Date Fund의 약자로, 주식 등 위험 자산과 채권 등 안전자산을 투자 비중을 자동으로 조정해 주는 자산 배분형 펀드임. 글라이드 패스라는 자산 배분 곡선에 따라 자산 배분 비중을 조정해 주는 상품이며, 생애 주기에 따라 위험자산의 비중을 조절함.
- 적극적인 투자자 추천 상품: 적극적인 투자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ETF나 리츠 상품을 추천함. ETF는 주식처럼 쉽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상장 펀드로, 퇴직연금 가입자들에게 최근 인기가 많음. 장기간 운영하는 퇴직연금 자산의 펀드와 주식의 장점이 더해짐.
- 60대 이후 은퇴 세대 추천 상품: 60대 이후 은퇴 세대에게는 인컴펀드를 추천함. 인컴펀드는 채권이나 고배당주, 리츠 등에 투자해 이자와 배당, 임대료 수익 등을 얻는 상품으로, 꾸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 퇴직연금·IRP계좌 활용...내게 맞는 투자상품은?
퇴직연금 적립액이 300조원을 돌파하면서 퇴직연금을 어떻게 운용할지 고민하는 직장인이 많다.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는 퇴직연금 상품을 고르는게 중요한데 원금보장을 중시하는 안정적 성향이라면 타깃데이트펀드(TDF)를, 보다 적극적 투자를 원한다면 상장지수펀드(ETF)나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를 눈여겨볼 만 하다.
먼저 원리금보장형 상품은 은행 정기예금, 증권사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 환매조건부채권(RP), 보험사의 금리연동형보험(GIC)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상품은 대체로 투자원금이 보장되며 일정 수준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중도해지시 적용받는 금리가 달라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반면 실적배당형 상품은 운용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진다. 펀드, ETF, 리츠 등이 여기에 속한다. 특히 ETF는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어 최근 퇴직연금 투자자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또 장기적으로 운용하는 퇴직연금 특성상 일반 펀드보다 수수료가 저렴한 ETF가 유리할 수 있다.
은퇴를 앞둔 50대 이상이라면 인컴펀드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인컴펀드는 채권, 고배당주, 리츠 등에 투자해 주기적으로 이자나 배당, 임대수익을 추구하는 중위험·중수익 상품이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생방송을 실시간으로 텍스트화 한 후 핵심만 간추려 작성됐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는 위 생방송 원문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무료 회원가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제한된 무료 기사, 클린 화면, 뉴스 알림, 내 관심사 뉴스레터의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디지털사업부 와우퀵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