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가 대폭 인상되면서 미국 수입업자들이 중국 공장에 대한 주문을 취소하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광둥성에서 장난감 공장을 운영하는 한 사업자는 미국의 상호관세가 9일 발효된 직후 10년 넘게 거래해오던 미국 볼티모어의 한 고객으로부터 주문 취소 전화를 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뒤 장난감 가격을 10% 인하하기로 합의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맞대응 조치에 대응해 상호관세를 84%(총 104%)로 올리자 관세 비용을 더는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국 관세를 125%로까지 높였다.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공장주는 관세 인상 여파로 "더 이상 양측 모두 사업을 할 여지가 없다"면서 앞으로 며칠 안에 미국 고객들에게서 더 많은 주문 취소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도 중국과 아시아 국가들에서 생산된 여러 제품에 대한 주문을 취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2일 중국과 베트남, 태국을 포함한 18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후 비치체어, 스쿠터, 에어컨 및 기타 상품에 대한 주문이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주문 취소를 통보받은 중간 유통업체(벤더)들은 사전 예고도 없이 주문이 취소된 시점을 고려할 때 트럼프 관세 대응 조치로 추측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에 대해 아마존 대변인은 논평을 거부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는 중국 저장성에 있는 크리스마스 장식품 공장에 10여년 만에 처음으로 가격표를 붙이지 말 것을 요청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짚었다.
WSJ은 올해 초 일부 중국 공장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에 '10%+10%' 추가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 고객들에게 가격 인하를 제안하기도 했지만 이제는 대중국 관세가 큰 폭으로 인상되면서 손실을 감수하지 않고선 가격을 더 낮출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이 이어지면 미국 수입업자들이 관세 부담을 대부분 떠안게 되고 결국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미국 소비자들에게 비용이 전가될 수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