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가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중국이 미국에 대해 관세율을 125%로 높이며 재보복에 나섰지만 양국이 더는 관세율은 높이지 않겠다고 시사한 만큼 관세율 전쟁은 일단락 됐다는 안도감이 작용했다.
1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9.05포인트(1.56%) 뛴 40,212.71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5.31포인트(1.81%) 상승한 5,363.36, 나스닥종합지수는 337.14포인트(2.06%) 급등한 16,724.46에 장을 마쳤다.
중국이 미국에 대해 재보복에 나섰지만, 시장은 불확실성의 해소로 받아들였다.
중국은 오는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125%로 올리는 내용의 관세 조정 고시를 이날 발표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45%로 재산정한 데 따른 조치다.
다만 중국은 "현재의 관세율은 이미 미국산 수입품이 중국 시장에서 수용될 수 없는 수준이 됐다"며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고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이 다시 관세를 높여도 중국은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드러낸 것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중국이 재보복을 한들 관세를 더 부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적어도 관세율에 관해선 양국의 자존심 싸움이 일단락됐다.
미 재무부가 채권시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협상도 낙관적이라는 백악관의 발언도 증시를 끌어올렸다.
이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채권시장을 매우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고, 발언이 나오자 채권시장이 다소 진정되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강해졌다.
모든 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에너지와 소재, 기술은 2% 이상 올랐다.
애플은 4% 이상 뛰었고 엔비디아와 아마존, 알파벳도 2~3%대 상승률을 보였다. 메타플랫폼스와 테슬라는 약보합으로 마무리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 넘게 급등했다.
브로드컴은 5% 이상 올랐고 TSSMC는 4% 상승했다. ASML과 퀄컴, Arm은 3% 안팎으로 상승했으며 AMD는 5.30% 상승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