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92.09
(1.58
0.06%)
코스닥
715.98
(1.69
0.24%)
  • 비트코인

    150,702,000(-0.81%)

  • 이더리움

    3,496,000(-2.13%)

  • 리플

    3,230(-1.6%)

  • 비트코인 캐시

    586,000(-1.91%)

  • 이오스

    1,017(-1.29%)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3,070(-2.68%)

  • 이더리움 클래식

    25,450(-2.04%)

  • 비트코인

    150,702,000(-0.81%)

버튼
가상화폐 시세 관련기사 보기
  • 비트코인

    150,702,000(-0.81%)

  • 이더리움

    3,496,000(-2.13%)

  • 리플

    3,230(-1.6%)

  • 비트코인 캐시

    586,000(-1.91%)

  • 이오스

    1,017(-1.29%)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3,070(-2.68%)

  • 이더리움 클래식

    25,450(-2.04%)

정보제공 : 빗썸 닫기

美中 관세전쟁서 밀리는 트럼프! 시진핑이 美 증시 살린다? 국채매각보다 더 센 카드있다!!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입력 2025-04-15 10:01  

이 시간을 통해 글로벌 증시 향방은 미국이 아니라 중국이 쥐고 있다는 진단을 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 트럼프 관세정책의 핵심인 중국과의 전쟁에서 갈수록 트럼프가 밀리면서 세계 증시도 최악의 국면에서 탈피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국은 트럼프 관세정책이 강하게 나올 때 국채 매각보다 더 쎈 카드를 쓸 것이라는 시각이 나오고 있는데요. 어떤 카드인지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오늘도 그렇습니다만 최근 들어 미국 증시가 트럼프 집권 1기에 볼 수 없었던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 않습니까?
- 美 증시, 트럼프가 관세 관련해 세게 나오면 하락
- 반대로 시진핑이 세게 나올수록 美 증시 상승
- 中, 트럼프 관세 정책에 철저히 ‘tit-for-tat’
- 트럼프 대중 관세율에 정확하게 비례해 부과
- 페타닐 특수관세 20% 제외, 125% vs 125%
- 비관세장벽 규제에 대해서도 수출통제로 맞서
- 관세 강도, 집권 1기 대비 美 1.5배 vs 中 2배

Q. 오히려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한 중국이 맞대응 강도가 미국보다 더 강한데요. 왜 강헤게 이렇게 맞대응하는 것입니까?
- 대미 무역흑자 축소 노력한 中, 피해의식 강해
- 對美 흑자, 3200억 달러 → 2400억 달러로 축소
- 대미 수출 비중, 14%대로 하락 충분히 완충 가능
- 시진핑, 트럼프 대응하지 못하면 장기집권 불안
- 공산당 등 군부와 갈등으로 입지, 종전 만 못해
- 장기간 경기침체·경제고통으로 인민 불만 고조
- 집권 1기, 맞대응할수록 美와 경제패권 성과

Q. 세계 경제패권을 다투는 양대 국가가 극과 극으로 치닫는 관세정책이 계속될 수는 없지 않습니까? 누가 먼저 손을 드는가가 새로운 흥밋거리로 대두되고 있지 않습니까?
- 관세 대응 정책 여건 면에서는 중국이 더 좋아
- 美, 성장률 하락과 재정·무역적자 확대
- 中, 성장률 높고 대규모 무역흑자 속 물가 하락
- 관세 대응 정책 여지 면에서도 중국이 더 여유
- 美, 재정은 ‘디폴트’·통화는 완화정책 어려워
- 中, 통제 체제 하에서는 언제든지 완화정책 가능
- 대외정책 여건·여지 면에서 미국 더 고립돼


Q. 오히려 중국이 미국보다 시장경제를 더 지향한다는 면에서도 중국이 더 유리한 측면이 있지 않습니까?
- 中, 양회 후 시장·개방경제에 더 접근
- 친기업 정책, ‘國進民退’에서 ‘國進民進’으로
- 산업정책, R&D 투자 통한 ‘레드 테크’ 집중
- 외국인 자금이탈 방지와 유치, 反간첩법 철회
- 美, 트럼프 취임 후 민주주의·시장경제 퇴조
- 행정조치 의존, 국제법·미국법 무시 독자 결정
- 돈로주의, 먼로주의보다 더 강한 美 국익만 고려

Q. 경제패권 다툼의 목표이기도 한 첨단기술에 있어서도 중국이 미국에 해볼만 상황까지 와있지 있지 않습니까?
- 中, 첨단기술 육성책 종전 ‘압축성장’서 탈피
- ‘dynamic catch-up’·‘ramp up’ 전략 구사
- 美 주도주 빅테크 대비 中 주도주 ‘레드 테크’
- 레드 테크, ‘중국판 M7’·‘테리픽 10’ 부상
- ‘중국판 M7’ 알리바바·텐센트·BYD·샤오미·SMIC·레노버·메이투안
- ‘Terrific 10’ 알리바바·텐센트·BYD·샤오미·SMIC·메이투안·지리차·바이두·넷이즈·징둥닷컴

Q. 관세전쟁에 지속될 경우 맞대응할 수 있는 카드, 즉 동원 가능한 무기가 누가 더 많이 갖고 있느냐도 중요하지 않습니까?
- 中보다 경제대국인 美, 쓸 수 있는 카드 많아
- 對中 관세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출통제 사용
- 기술이전·직접 및 포트폴리오 해외투자 규제
- 中, 美에 정곡을 찌를 카드가 많이 더 효과적
- 對中 관세, 위안화 절하로 무력화시킬 수 있어
- 美 국채 매각으로 美 디폴트 확률 촉진 가능
- 내부적인 결집도, 中이 美보다 훨씬 높게 평가


Q. 벌써부터 중국이 국채를 매각하면서 미국이 흔들리고 있는데요. 더 센 카드가 있다면 어떤 것이 있습니까?
- 中, 자원 무기화 통해 美 공급망 차질 겨냥
- 시진핑, 美 대신 지원 등 통해 해외자원 확보
- 아프리카 등 제2 종속이론 등장할 정도
- 희토류 수출통제, 15년 전 日 백기투항해
- 中, 희토류 생산·제조 공정 90% 이상 차지
- 美 반도체·AI·군수물자·우주항공 등 생산차질
- 인민, 반트럼프와 美 제품 소비 안하기 캠페인
- 3월 수출 +12.4% vs. 수입 ?4.3%, 美 곤혹

Q. 결론을 내려 보지요. 트럼프와 시진핑, 앞으로 누가 먼저 백기를 드느냐에 따라 증시를 비롯한 금융시장 모습이 달라지지 않겠습니까?
- 트럼프 vs. 시진핑, 누가 먼저 백기투항하나?
- 트럼프가 먼저 손들면 증시 취임 이전 돌아가
- 시진핑이 먼저 손들면 트럼프는 더 세게 밀어
- 트럼프, 시진핑보다 먼저 손 내밀어 회담 요청
- 1단계, 상호관세 부과 후 비보복국 대상 ‘유예’
- 2단계, 스마트폰·컴퓨터·메모리 등에 ‘추가 유예’
- 美 주식 투자 전략, 또 다른 전환점 맞을 수도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

랭킹뉴스 더보기

가상화폐 시세 기사 보기 +

    • 비트코인

      150,702,000(-0.81%)

    • 이더리움

      3,496,000(-2.13%)

    • 리플

      3,230(-1.60%)

    • 비트코인 캐시

      586,000(-1.91%)

    • 이오스

      1,017(-1.29%)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정보제공 : 빗썸

온라인에서 만나는 '한경TV LIVE'
  •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 굿모닝 작전 '재정적자 확대 우려' 美 감세안 하원 통과... 韓 영향은?
  • 오늘장 뭐사지? 트럼프 감세안 하원 통과, 국내증시 영향은?
  • 주식 콘서트 - 변동성 장세 단기 핵심 유망주 大공개! | 이동근
  • 미국증시 오프닝 라이브 [LIVE] 트럼프 ‘대규모 감세 법안’ 하원 통과 | 비트코인, 사상 첫 11만 달러 돌파 | 에버코어ISI “MS 입지 강력…목표가 상향” | 미국증시 오프닝 라이브ㅣ05/22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채팅참여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디지털캠프광고로고
핀(구독)!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