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시장은 엔비디아의 H20 수출 통제 소식과 파월 의장의 경기 침체 우려 발언으로 하락 마감했으며, 특히 반도체주의 급락이 두드러짐.
- 국내 시장은 미국 시장의 영향으로 반도체주 투심 약화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출발했으나,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동결 발표 이후 상승 전환함.
- 외국인 수급은 코스피에서 2천억 원 가까이 매도 중이나, 코스닥에서는 양 주체가 매수하는 흐름이 나타남.
- 엔비디아의 7% 가까운 하락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4%대 하락에도 불구하고, 국내 반도체주는 선방하는 모습을 보임. 삼성전자는 0.5%대 강보합권, SK하이닉스는 보합권에서 움직임.
- 화장품과 미용기기 관련주가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관세를 앞두고 선크림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면서 선크림 소재 전문 선진뷰티사이언스와 아이패밀리에스씨에 기관 매수가 강하게 유입됨.
- 미국이 상호관세 면제 품목에 태양광 소재와 부품을 포함했다는 소식에 관련주들 시세 급등함.
- 메타의 인수 제안을 거절했던 퓨리오사AI가 다시 상장을 추진한다는 보도에 관련주들 강세를 보임.
- 정책 테마주로는 이재명 전 대표의 K-방산 간담회 참석과 웹툰 도서관 방문 예정 소식에 관련주들이 오름세를 보임. 특히 드론 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드론 관련주들이 반짝 상승함.
● 4월 17일 주식시장 동향 : 반도체주 선방, 화장품 미용기기 및 태양광 소재 급등
미국 시장은 엔비디아의 H20 수출 통제 소식과 파월 의장의 경기 침체 우려 발언으로 하락 마감했으며, 특히 반도체주의 급락이 두드러졌다. 국내 시장은 미국 시장의 영향으로 반도체주 투심 약화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출발했으나,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동결 발표 이후 상승 전환했다.
외국인 수급은 코스피에서 2천억 원 가까이 매도 중이나, 코스닥에서는 양 주체가 매수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엔비디아의 7% 가까운 하락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4%대 하락에도 불구하고, 국내 반도체 주는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0.5% 대 강보합권, SK하이닉스는 보합권에서 움직였다.
화장품과 미용기기 관련주가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관세를 앞두고 선크림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면서 선크림 소재 전문 선진뷰티사이언스와 아이패밀리에스씨에 기관 매수가 강하게 유입됐다. 미국이 상호관세 면제 품목에 태양광 소재와 부품을 포함했다는 소식에 관련 주들 시세 급등 했다.
메타의 인수 제안을 거절했던 퓨리오사AI가 다시 상장을 추진한다는 보도에 관련 주들 강세를 보였다. 정책 테마주로는 이재명 전 대표의 K-방산 간담회 참석과 웹툰 도서관 방문 예정 소식에 관련 주들이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드론 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드론 관련 주들이 반짝 상승했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생방송을 실시간으로 텍스트화 한 후 핵심만 간추려 작성됐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는 위 생방송 원문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는 회원님만을 위한 특별한 콘텐츠입니다.
계속 보시려면 로그인 혹은 무료 회원가입을 완료해 주세요.
한국경제TV 디지털사업부 와우퀵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