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은 17일 충북 영동에서 영동양수발전소 건설공사 착공식을 열었다.
양수발전소 건설은 2011년 예천양수발전소 준공 이후 약 14년 만이다.
양수발전소는 남는 전기를 활용해 하부댐에서 상부댐으로 물을 끌어올리고, 전력이 부족할 때 물을 떨어트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다.
발전소 가동 3분 내로 전력 생산이 가능해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해주는 일종의 배터리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8번째 양수발전소가 될 영동양수발전소는 2030년 준공 예정이다. 250㎿ 2기, 총 500㎿ 규모로 총 1조3377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한수원은 현재 청평양수, 삼랑진양수, 무주양수, 산청양수, 양양양수, 청송양수, 예천양수 등 7개, 총 16기의 양수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영동양수발전소는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가변속 양수발전소이자 현재 우리나라에서 건설을 추진 중인 9곳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사업 중 최초, 한수원 최초의 양수발전소 건설사업으로 의미가 크다"며 "전력 인프라 구축을 넘어,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하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적 과업이자 국가 에너지 안보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