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저축은행에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자산을 상반기 내 정리하라고 지시했다.
시한 내 이행하지 않으면 현장 점검과 제재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저축은행업계는 "부실자산을 떠안을 사람이 없다"며 현실적으로 매각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17일 저축은행중앙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권 PF 부실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약 3조6천억 원에 달한다.
이 중 유의 등급이 7천억 원, 부실 우려 등급은 약 2조9천 억 원 수준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자체 대응에 나섰다.
100억 원 규모의 부실채권(NPL) 자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며, KB자산운용을 운용사로 선정해 '4차 PF 정상화 펀드'도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저축은행업계는 자본 건전성과 충당금 수준을 감안해 유예 기간을 두고 자율 정리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 무리하게 정리를 강행할 경우 경영진 배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장이 어느정도 회복된 뒤에 매각해야 손실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은 15.02%로 법정 기준인 7~8%를 크게 웃돌았다.
유동성비율은 181.92%이었으며, 대손충당금 적립률 역시 113.23%로 기준을 상회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