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에 대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한 여파로 지난 3월 한국 철강 제품의 수출이 1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10억4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5.7% 감소했다고 18일 한국무역협회가 밝혔다.
3월 수출 중량 역시 71만t으로 15.5% 줄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2일부터 세계 주요국에서 수입하는 철강 제품과 알루미늄 제품에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기존에 한국 등 주요국에 부과한 쿼터(할당량) 내 관세 면제를 없앤 것이다.
이에 한국은 지난 2018년 미국과의 협상을 거쳐 받아온 연간 263만t 규모의 철강 면세 쿼터가 없어졌다.
3월부터 시작된 미국의 철강 관세 조치 영향이 한국 철강의 대미 수출 감소에 일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약 4분의 3의 점유율을 차지하던 미국 철강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어느 정도 높아진 후 새 균형점을 찾아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철강 거래는 보통 수개월 전에 미리 이뤄지고, 관세 외에 현지 경기 동향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돼 관세 부과 후 몇주의 결과만 보고 관세 영향을 속단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철강 제품 대미 수출이 줄긴 했지만, 최근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자동차 제조 등에 쓰이는 철강판(-26.5%)에서 주로 감소가 나타났고 철강판과 수출 규모가 비슷한 강관 제품 수출액은 4.5% 증가했다.
한국 철강 업계는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새 통상 환경에 적극 대처할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미국에 약 30조원을 투입해 오는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한다는 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포스코도 현대체철의 제철소에 공동 투자해 물량을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