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96억원에서 2015년 529억원 '껑충'…누적 3천148억원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광주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도입·운영한 지 근 10년 만에 누적 지원금이 3천억원을 훌쩍 넘어섰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1/08//AKR20170108028700054_01_i.jpg)
광주시는 최근 버스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시내버스 업체에 지원할 2015년도 재정지원금으로 529억원을 확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지원금은 운송원가 대비, 운송수입 부족분이다.
버스 요금 등 수입금은 1천261억원, 인건비와 원료비, 정비비, 보험료 등 운송원가는 1천790억원으로 확정했다.
문제는 버스업체 경영상황이 개선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이 재정지원금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는 데 있다.
운송수입은 주는 데 반해 운송원가는 꾸준히 늘고 있다는 것이다.
2012년 1천640억원인 운송원가는 2015년 1천790억원으로 늘었다.
요금과 광고 등 운송수입은 1천290억원에서 1천261억원으로 오히려 29억원 줄었다.
시가 내년에 정산할 2016년도 재정지원금도 이 추세를 고려하면 5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재정지원금은 2007년 196억원을 시작으로 2010년 352억원으로 300억원대로 올라섰으며 2014년에는 445억원, 2015년 500억원대를 기록했다.
누적 지원금만 3천148억원에 달한다.
도입 첫해와 비교해 9년 사이 333억원이나 폭증했다.
광주시는 2006년 말 시내버스 노선과 운영방식 결정, 운송비용 보전 등 공공 부문은 지자체가 관리하고 버스 운행, 근로자 채용, 경영관리는 민간 운수업체에서 맡도록 한 준공영제를 도입했다.
운송원가 대비 운송수입 부족분을 시 재정으로 보전하는 것으로 체불과 낮은 임금 수준, 불친절, 비수익 노선 운행 기피 등 시내버스 서비스 질을 높여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해 시행했다.
한편 광주시는 10개 시내버스 업체를 대상으로 운행관리, 친절도 서비스와 경영 및 재무 등 경영평가를 해 13억원을 차등배분했다.
서비스평가 1위와 2위는 대진운수와 대창운수가, 경영평가는 각 라정버스와 대창운수가 차지했다고 광주시는 설명했다.
nicep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