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 계란 30% 인상, 대상 업소용식용유 8% 올려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장바구니 물가 비상이 걸린 가운데 식품 가격 인상이 계속되고 있다.
설을 앞두고 농축수산물 가격이 들썩이는 상황에서 계란, 두부, 콩나물, 식용유 등 각종 식품값이 뛰고 있다.
먼저 조류 인플루엔자(AI) 사태가 길어지면서 계란값 폭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풀무원은 지난 1일 자로 계란 21개 제품을 평균 30% 인상했다.
'목초를 먹고 자란 건강한 닭이 낳은 달걀'은 10구 제품이 기존 4천500원에서 5천850원으로 30.0% 인상됐고, 15구 제품은 6천450원에서 8천350원으로 29.5% 올랐다.
일반 제품보다 품질이 뛰어나다는 프리미엄 계란이지만 30구 기준으로 환산하면 이들 제품은 한판에 1만6천원을 훌쩍 뛰어넘는 셈이다
'무항생제 1등급 하루에 한알'(10구) 제품은 기존 3천950원에서 5천150원으로 30.4% 올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특란 중품 30구 기준 평균 소매가격은 9천367원이었다.
이번 AI사태 발생 이후 대형마트 등이 가격을 수차례 올렸지만 프리미엄 제품만 취급하던 풀무원은 계란값을 올리지 않았다.그러나 한 번에 30%를 대폭 인상하면서 그동안 가격을 올리지 않은 것이 무색하게 됐다.
풀무원은 지난 연말에는 콩나물 제품 가격을 17% 인상한 바 있다.
다른 식품 가격도 꾸준히 오르고 있다.
아르헨티나 홍수 여파로 업소용 식용유 판매를 중단했던 대상은 9일부터 공급을 재개하면서 가격을 8% 인상했다.
대상 외에 업소용 식용유 판매를 중단했던 동원F&B도 판매 재개를 검토 중이다.
이로써 점차 식용유 대란 위기 우려는 진정될 것으로 보이지만 가격은 한 단계 뛴 셈이다.
오뚜기와 롯데푸드 등이 지난달 말 가격을 올렸고 CJ제일제당은 이달 말 업소용 식용유 가격을 약 8% 인상할 예정이다.
대상은 두부 가격 인상도 검토 중이다.
그 외 가격을 아직 올리지 않은 라면, 맥주, 두부, 식용유 업체들의 가격 인상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정혼란과 AI 사태 등으로 사회가 어수선한 틈을 타 가격이 너무 급하게 오른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1/10//AKR20170110178900030_01_i.jpg)
doub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