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확산 여파에 따른 달걀파동은 아직 반영 안 돼
"수입처 다변화해 공급 충격 최소화해야"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최근 한국의 식료품 물가 상승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에서도 상위권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1년 전과 견줘 4.5% 상승, 34개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4.9%), 일본(4.7%)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해 10월에는 5.0%로 터키에 이어 상승률 2위였고 그보다 한 달 앞선 9월에는 5.6%로 1위였다.
지난해 12월 기록이 아직 다 나오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 3개월 연속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물가 상승률이 OECD 톱3에 든 셈이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육류, 어류, 과일, 채소, 곡물, 과자류나 조미료, 생수, 청량음료 등 먹을거리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를 구성하는 세부 품목은 나라별로 다르지만, 해당 국가에서 많이 소비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월별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음료의 물가 상승률은 1월 1.6%로 출발하고서 2∼4월 3%대로 솟았다가 5월 0.8%로 내려갔다.
6월(-0.3%)과 7월(-0.1%)에는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8월에는 0.5%로 소폭 반등하더니 9월부터 급격한 오름세를 탔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이 여름 이후 가팔라진 것은 지난해 폭염으로 배추, 무 등 농산물가격이 고공비행했기 때문이다.
수산물 중에서도 어족 자원 부족, 6월 한·일 어업협정 결렬로 공급량이 줄어든 여파가 여름 이후 본격적으로 게, 갈치 가격에 반영됐다.
소 사육두수가 줄어 쇠고기 공급량이 감소했고 비싸진 쇠고기 대신 돼지고기를 사 먹는 수요가 늘며 돼지고기 가격도 뛴 영향도 있다.
아직 달걀 대란 여파는 OECD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이 달걀 공급량에 영향을 미친 지난해 12월에도 한국이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 상위권에 들 공산이 크다.
필수 지출인 식품 물가 상승률이 확대되면 체감 물가가 급격히 뛰어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특히 식료품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의 경우 소비를 큰 폭으로 줄이는 등 더 많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농산물 비축사업을 확대하거나 식료품 수입처를 미리 확보하고 다변화해 계절적인 요인이나 다른 충격이 있을 때 공급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