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적 충격요인 진단 불구 장기화 우려도 없지 않아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권수현 유현민 조민정 기자 = 특검이 이재용 부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최근 삼성전자[005930] 주가 최고가 행진에 급제동이 걸렸다.
16일 오후 1시33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2.03% 내린 183만5천원에 거래되고 코스피 역시 2,060선으로 후퇴했다. 삼성전자와 코스피 모두 이틀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증시전문가들은 특검의 이재용 부회장 구속영장 청구 결정이 단기적으로 삼성전자와 코스피 전체 투자심리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번 사안이 기업과 시장의 기초여건을 훼손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는 다소 유보적인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 삼성전자 오너 리스크 부각…주가 '털썩'
이재용 부회장 구속영장 청구가 현실화하자 삼성전자의 오너 공백으로 지배구조 개편 작업 지연과 경영 공백에 따른 성장 정체 등에 우려가 확산했다.
삼성전자의 주가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최근 194만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데 따른 차익실현 매물과 인수 예정인 전장업체 '하만' 주주들의 합병 반대 소식도 동반 악재로 작용했다. 삼성전자는 13일 약세로 돌아서 이틀 만에 4% 가까이 떨어졌다. 특히 오너 공백이 장기화하면 하만 인수 지연 등에도 당장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국내외 투자기관 중에서 투자 기업을 선별하는 기준으로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임원이 법적 구속을 당하는 기업 투자를 제한한 내부 지침을 두는 곳이 적지 않다. 이 역시 수급 측면에서 부정적인 요인이다. 이번 사태가 200만원에 바짝 다가섰던 삼성전자의 상승 행진에 당분간 제동을 걸 것이라는 관측이 대부분이다.
김록호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은 "주가 측면에서 충격이 있을 것"이라며 "일부 외국계 주주는 내부 지침상 삼성전자 투자를 회수할 가능성도 있어 수급은 안 좋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용 부회장의 영장 청구 소식이 나오자 삼성전자에 외국인의 매도세가 집중됐다.
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는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영장청구 등 최근 악재는 삼성전자의 흐름을 좌우할 근본적인 요인이 아니라고 진단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주가는 거시 경기, 정보기술(IT)·반도체·전기전자 업황, 국내외 경쟁력 등에 영향을 받는다"며 "최고경영자가 구속되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해도 실적과 업황과는 무관하며 삼성전자의 전체 흐름을 좌우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세철 NH투자증권 연구원도 "특검의 영장 청구는 심리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삼성전자 펀더멘털과 무관한 요인으로 주가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더구나 시장에선 이미 이번 사태에 따른 영향을 선반영했다"고 지적했다.
김성환 부국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지난주에도 최고경영자 리스크에 조정을 받지 않았다"며 "구속영장 청구 소식이 과거처럼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합병 관련 소송은 미국 상장사 인수·합병(M&A) 과정에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라며 "삼성전자는 우호지분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어 올해 1분기에 하만 인수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CEO 리스크 대부분 단기에 그쳐…트럼프 영향 더 클 것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코스피200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6∼27%에 달해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 코스피는 반도체 업황 호조에 따른 실적 개선으로 삼성전자가 최고가 랠리를 펼친 덕에 올해 들어 오름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작년 말 종가 2,026.46에서 지난 12일 종가 기준 2,087.14로, 새해 들어 60.68포인트(3%) 올랐다.
그러나 이날 코스피는 외국인이 매도물량을 늘리는 바람에 10포인트 이상 하락하고 있다.
다만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재용 부회장 구속영장 청구 요인은 단기적으로 심리적 변수는 될 수 있지만 추세 변화를 야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상영 키움증권 수석연구위원은 "과거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속 사안도 시장에선 단기 이벤트로 반영했다"며 "투자심리 위축도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윤서 KTB투자증권은 "이재용 부회장 구속 여부에 대한 위험은 시장에서 이미 어느 정도 반영됐다"며 "리더십 부재는 투자심리에 일시적인 위험 요인이지 코스피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선 삼성전자보다 이달 20일 취임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 정부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코스피는 미국의 보호 무역 정책 등 트럼프 정부 정책 방향과 달러화 강세, 원화 약세 등 환율 변동성에 좌지우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팀장은 "삼성전자 CEO 문제는 코스피 심리 측면에서 껄끄러운 변수여서 시장이 단기적으로 정체될 소지는 있으나, 이보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 정부 정책 영향이 더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삼성 수뇌부 수사에 이어 특검은 조만간 SK와 롯데 등 다른 대기업으로 뇌물 의혹 기업 수사를 확대할 전망이어서 이번 사태의 충격이 단기에 그칠지 한국산업 전반을 비롯, 자본시장 전체에 충격파를 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유보적인 입장도 적지 않다.
앞서 특검은 박 대통령의 뇌물 또는 제삼자 뇌물수수 의혹과 관련해 삼성 이외에 다른 대기업도 수사할 방침임을 내비친 바 있다.
indig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