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사업준비위·제주지역구 국회의원 주최 토론회서 제기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제주4·3사건 70주년을 1년여 앞두고 '4·3이 무엇인지' 본질과 의미, 직접 체험하지 않은 세대에 4·3 정신을 계승할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1/18//PYH2017011826010005600_P2.jpg)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1/18//PYH2017011826000005600_P2.jpg)
18일 제주 벤처마루에서 열린 '4·3 70주년,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김수열 제주작가회의 회장은 "우리 세대는 4·3을 체험한 세대와 맞닿아있지만, 자라나는 세대는 그렇지 않다"며 미래를 이끌어갈 세대에 4·3의 본질을 알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4·3을 체험한 세대는 점차 사회구성의 중심에서 벗어나고 유명을 달리하는 게 현실이며, 4·3 정신을 계승해야 할 미체험 세대들은 4·3을 잘 모르거나 무관심하다"며 잊혀가는 역사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일은 기억의 부활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청소년 교육이 이뤄지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4·3 문화예술의 전략적 지향점도 자라나는 세대에 양민을 학살한 권력의 본질을 알리고 기억하게 하는 데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규배 제주국제대 교수는 70주년을 맞아 배·보상 쟁점화, 수형인 문제 해결, 주요 책임자 상징적 단죄 등 아픈 역사의 정의로운 해결을 완성할 돌파구를 열어야 하며 교육, 문화, 다크 투어리즘 등 대중적 세대계승을 위한 사회문화적 기반 구축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의 발표에 따르면 40주년(1988년)에는 공권력의 방해 속에서 기념행사가 최초로 서울과 일본 도쿄에서 열렸고, 50주년(1998년)은 4·3특별법 제정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전기였으며 60주년(2008년)에는 4·3평화재단이 출범하고 조직적인 4·3사업이 수행되기 시작했다.
이 교수는 "단계별로 보면 4·3 운동 1단계에는 민간 주도로 4·3의 진상을 조사 연구하고 사회적으로 공론화했고, 2단계에는 특별법 제정과 진상조사보고서 발간 등 제도적 해결을 일정 부분 이뤄냈다"며 "70주년은 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3단계를 여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임종 4·3희생자유족회 상임부회장은 "5·18 유족들이 선보인 서툴지만 감동적인 공연이 생생하고, 오키나와전몰자 유족들이 치유 목적으로 그린 그림을 실은 도록이 부럽기도 했다"며 "4·3 희생자와 유족을 위로하고 해원하기 위한 기념사업에 당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은 제한적이어서 아쉽다"고 말했다.
오 상임부회장은 "이미 고령이 된 4·3 경험 세대는 10주년 단위 기념사업은 이번 70주년이 마지막이 될 확률이 농후하다"며 "70주년을 맞아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평화와 인권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토론회에는 위성곤(더불어민주당·서귀포시) 의원을 좌장으로 박찬식 육지사는 제주사름 대표, 김영순 제주여민회 공동대표, 이상봉 제주도의원, 김대휘 제주도기자협회장, 강덕환 전 제주도의회 정책자문위원, 김종민 전 제주4·3중앙위 전문위원, 고창덕 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이 참여했다.
이번 토론회는 4·3 관련 단체와 시민사회단체 등 24개 단체로 구성된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준비위원회와 강창일·오영훈·위성곤 국회의원 공동 주최로 마련됐다.
준비위원회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민간 차원에서 4·3 70주년에 대한 활동을 본격화하고 참여 단체도 확대하는 한편 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 구성도 논의를 거쳐 추진할 예정이다.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은 제주4·3사건을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해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부의 4·3사건진상보고서는 당시 희생자를 2만5천에서 3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atoz@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