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풍자 '세월오월'이 영향 준 듯"
(광주=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최근 사의를 표명한 박양우(59) 광주비엔날레 대표가 정부의 일몰제(국제행사 졸업제도)에 대해 "잘못된 정책"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1/24//AKR20170124127800054_01_i.jpg)
박 대표는 24일 낮 광주 시내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고 "부산국제영화제와 함께 광주비엔날레에 대해 일몰제를 소급적용하는 것은 매우 문제가 있다"며 "새 정부가 들어서면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2008년부터 국제행사의 경우 심의를 거쳐 7회 이상 국고지원(10억원 이상)을 받은 행사는 국제행사 심사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광주비엔날레는 2008년부터 일몰제를 도입하면 2024년부터 적용대상이 되지만 기획재정부는 2001년 이후부터로 소급 적용해 광주비엔날레를 올해부터 일몰제 대상에 포함해 논란이 일었다.
박 대표는 이에 대해 "문화 산업적인 측면이 강한 행사는 일몰제가 가능하지만, 순수예술은 크게 도움이 안된다"며 "선택과 집중이 아닌 모든 행사에 일괄적으로 도입한 것,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순수예술 성격을 지닌 행사에 적용한 것, 국제적 위상과 질을 고려치 않은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고 말했다.
일몰제 지정의 배경에 대해선 "박근혜 대통령을 풍자한 걸개그림 '세월오월'도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본다"며 "문체부도 사전 논의 없이 기재부로부터 일방적으로 통보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등 문체부의 파행 운영에 대해서도 "정치가 제대로 됐으면 문체부가 만신창이가 되었겠는가?"라며 "문체부는 잘못된 정치의 철저한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이어 "이번 일로 문체부가 중요하지 않다거나 문화예술을 폄하해서는 안된다"며 "지원은 많이 해주되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비엔날레에 대해선 "국제적인 위상을 견지하면서 지역에 기여해야 한다"며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지역의 인재를 키우고 미술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올해 12월 임기가 만료되는 박 대표는 부임 전에 몸을 담았던 중앙대학교에 돌아가기 위해 최근 윤장현 광주시장에게 사퇴 의사를 전달했다.
minu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