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서울시는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부양식 수중점검선'으로 한강 교각과 수중 기초 구조물 1천373기의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2000년 수중점검팀을 창설해 국내 최초로 부양식 수중점검선을 개발한 바 있다.
이 점검선은 파도나 조수간만의 영향을 최소화해 수중점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한 뒤 데이터화해 이후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시는 정밀안전진단 시행 주기인 5년 단위로 한강과 그 지천에 설치된 32개 교량의 수중 구조물 1천373기의 기능을 점검한다.
시는 "수중점검선 2대가 하루 평균 구조물 1∼2개를 점검하고 있다"며 "손상부를 조기에 발견해 재빨리 보수·보강을 거쳐 안전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수중 구조물 303기를 점검한 결과 21기에서 침식과 부유물 충돌에 의한 콘크리트 부분 손상이 발견돼 보수 작업을 벌였다.
올해는 천호대교·영동대교 등 7개 교량의 수중 구조물 465기를 들여다볼 예정이다.
서울시 안전분야 홈페이지(http://safe.seoul.go.kr)에서 수중 구조물 안전점검 영상을 직접 확인해볼 수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1/25//AKR20170125042800004_01_i.jpg)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