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반군에 헌법 초안 전달…대통령 임기는 7년 단임 조언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러시아가 내전 종식 후 마련될 시리아 국가·정치 체제와 관련 시리아 내에 쿠르드족 자치 지역 창설을 허용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테르팍스 통신은 25일(현지시간) 시리아 반군 소식통을 인용해 앞서 23~24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열린 시리아 평화회담 뒤 러시아 대표단이 반군 대표단에 전달한 시리아 헌법 초안에 이 같은 제안이 담겼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아스타나 회담에 온 반군 측에 러시아 전문가들이 마련한 시리아 헌법 초안을 전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소식통은 "러시아는 헌법안에서 시리아를 통합 국가로 유지하되 시리아 영토 내에 쿠르드족 자치지역을 허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소개했다.
러시아는 또 다른 시리아 내 소수 민족에 대해서도 자체 언어를 지역 언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제안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시리아 북동부 지역에 주로 분포한 쿠르드족 반군은 시리아 내전 과정에서 미국 주도 국제동맹군과 연계해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를 격퇴하는 데 앞장서 왔다.
IS란 공동의 적을 가진 시리아 정부와 러시아도 이런 쿠르드 반군의 활동을 용인해 왔다.
미국은 지난해 한때 내전 상태의 시리아 정부와 반군 간 평화협상이 실패할 경우 시리아를 3개 지역으로 분할·독립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면서 쿠르드족의 독립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마련했던 '플랜B'는 반군이 점령한 시리아 동북지역과 이라크 서부지역을 묶어 수니파 국가인 '수니스탄'을 세우고, 역시 양국에 걸쳐 있는 쿠르드족 통제 지역을 '쿠르디스탄'으로 독립시키면서 시아파인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정부가 통제하는 지역으로부터 분리해 시리아를 3개의 국가로 분할하는 방안을 담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러한 미국의 계획은 시리아 정부군이 러시아의 적극적 지원에 힘입어 반군에 우위를 차지하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폐기됐다.
한편 러시아는 시리아 헌법안에서 대통령의 임기를 현재처럼 7년으로 하되 연임 대신 단임으로 제한하고, 의회는 단원제 대신 양원제를 채택할 것을 조언했다.
또 대통령이 반드시 무슬림이어야 한다는 규정도 삭제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1/26//AKR20170126184500080_01_i.jpg)
cjyo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