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조 칼텍 교수팀 "드론보다 조용하고 부상 위험 없어"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박쥐는 정교한 비행능력을 지닌 동물로 손꼽힌다. 공중에서 급격한 방향전환을 할 수 있고 고도를 부드럽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박쥐의 비행을 그대로 흉내 낸 소형 비행로봇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미국 칼텍(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정순조 교수팀이 2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로봇을 '배트봇'(BatBot·B2)이라 명명했다.
박쥐의 비행능력은 날개에 있는 40개 이상의 관절과 유연한 피부가 원천이다. 연구진은 이 같은 구조를 다른 소재로 재현했다.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탄소섬유로 박쥐의 어깨, 팔꿈치, 손목 등 핵심 관절을 모사했고, 이 위에 두께 56㎛(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의 얇은 실리콘 막을 덮었다. 로봇은 실제 박쥐(Rousettus aegyptiacus)만한 크기이며 무게는 93g에 불과하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01//AKR20170201034500017_02_i.jpg)
배트봇이 얇은 날개를 팔랑이면 작은 몸이 금세 공중으로 붕 떠오른다. 1초에 4∼6m를 날 수 있는데, 이 속력도 실제 박쥐와 비슷한 정도다.
또 날개를 비대칭적으로 움직이며 방향을 전환하고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는 급격한 다이빙도 할 수 있다. 이는 날갯짓이나 프로펠러로 움직이는 기존 비행로봇이 가지지 못한 능력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01//AKR20170201034500017_01_i.jpg)
배트봇은 현재 소형 무인기(드론)가 활용되는 재난현장 감시와 환경모니터링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이 로봇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전하다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드론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쓰고 있는데, 여기에 손가락을 베이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러나 이 로봇은 가볍고 프로펠러도 없어 충돌하더라도 사람이 다칠 염려가 없다. 게다가 프로펠러가 돌 때 생기는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2월호에 실렸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