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정광훈 기자 =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가 이라크를 포함한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한시적으로 금지한 미국 정부의 반(反)이민 행정명령 발동 이후 처음으로 31일(현지시간) 공식 입장을 내놨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01//AKR20170201053300009_01_i.jpg)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아바디 총리는 이라크 국민에 대한 미국 입국 금지 조치를 "모욕적"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수니파 급진단체 이슬람국가(IS)와 전투를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국익을 훼손할 우려가 있어 미국인에 대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이라크 의회는 전날 미국의 행정명령 발동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인들에 대해서도 이라크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아바디 총리는 미국 정부의 결정에 따른 피해를 줄일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히고, "우리는 지금 (IS를 상대로) 전투를 벌이고 있는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라크에는 현재 5천여명의 미군 병력이 배치돼 IS로부터 북부 도시 모술을 탈환하기 위해 전투를 벌이는 이라크 정부군을 지원하고 있다. 모술 탈환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내려진 미국 정부의 입국 금지 결정으로 양국 관계에 새로운 긴장이 예고됐다.
아바디 총리로서는 미국에 상응하는 보복조치를 취하라는 압박에 직면해 있지만 미국의 군사적 지원을 받고 있어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있다.
그는 "IS편에서 싸우고 있는 미국인들도 있다"면서 "그렇다고 모든 미국인을 테러리스트라고 말할 수는 없다. 어느 국가든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이 있게 마련"이라고 말했다.
이브라힘 알자파리 이라크 외무장관은 하루 전 미국 정부의 결정에 불만을 드러내며 미국에서 테러를 저지른 이라크인이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사우디 아라비아와 같이 미국내 테러 공격에 연루된 국민이 있는 일부 국가들이 행정명령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점을 꼬집은 발언이다.
WP는 미국 정착을 허가받은 뒤 전재산을 처분하고 미국에 도착한 일부 이라크인들이 입국이 불허되는 등 공항에서 혼란이 빚어졌다고 보도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01//AKR20170201053300009_02_i.jpg)
bar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