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주택대출, 일단 정책금융부터 알아보고 상반기에 빌려야"

입력 2017-02-06 06:30   수정 2017-02-06 07:23

[가계부채] "주택대출, 일단 정책금융부터 알아보고 상반기에 빌려야"

"기존 대출자도 금리 더 오르기 전에 고정금리로 갈아타야"

(서울=연합뉴스) 금융팀 = 시중은행 대출 금리가 연일 상승하면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들은 물론 기존 대출자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만 해도 계속되는 저금리 기조에 정부의 대출 규제 완화로 연 2%대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상승과 정부의 대출 조이기 정책으로 시장 금리와 은행이 임의로 정하는 가산 금리 모두 오르고 있어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연 5%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집을 사려는 실수요자를 비롯해 돈이 필요한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싼 금리의 대출 찾기에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은행에 가기에 앞서 자신이 정책금융을 이용할 수 있는 조건에 맞는지부터 따져보는 것이 순서라고 말한다.

집을 사려는 사람이라면 주택금융공사의 디딤돌 대출이나 보금자리론을 활용하는 것이 금리 면에서 가장 좋다.

주택금융공사의 디딤돌 대출은 부부합산 연 소득 6천만원(생애 최초는 7천만 원까지)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라면 받을 수 있다.

대출 금리는 연 2.25∼3.15% 수준이다. 다자녀 가구나 청약저축 가입자 등 우대금리를 받으면 최저 1.8%까지도 받을 수 있다.

5억원 이하, 주거전용면적 85㎡(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면 지역은 100㎡까지) 이하 주택이 대상이며 대출한도는 주택담보가치의 70%, 최대 2억원이다.

보금자리론은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로 부부합산 연 소득 7천만원 이하가 대상이다.

단 1주택자는 구입용도에 한해 일시적으로만 2주택이 허용되며, 기존 주택은 대출실행일로부터 3년 이내 처분해야 한다.

6억원 이하 주택에만 해당되며 대출한도는 주택담보가치의 70%, 최대 3억원까지다.

금리는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아낌 e-보금자리론 기준 최고 2.95%다.

이 같은 정책 모기지를 구할 수 없다면 우선 주거래은행부터 가야 한다.





우리은행 WM자문센터 안성용 차장은 "은행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일단은 주거래은행에서 각종 금리우대를 받아 금리 수준이 얼마인지 알아야 한다"며 "그 뒤 다른 은행과 금리를 비교해 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부덕 신한PWM 서울파이낸스센터 팀장도 "각 은행 홈페이지를 뒤지면서 금리 인하 조건 등을 참고해 어떻게 받는 것이 가장 싼지 공부해야 한다"며 "그렇게 은행을 추린 후 직접 찾아가거나 전화로 문의하면서 찾아야 가장 싼 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꼭 은행만 정답은 아니라는 의견도 나왔다.

임채우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요즘은 보험사들도 경쟁이 붙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은행보다 더 싼 곳도 있다"고 말했다.

대출 시기에 대해서는 하반기보다는 상반기에 받는 것이 낫다고 조언했다.

김재봉 KEB하나은행 리테일상품부 차장은 "은행들은 하반기보다는 상반기에 우대금리를 더 많이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며 "금리가 점진적으로 오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도 상반기에 받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리가 오른다는 점에서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를 추천했다.

안 차장은 "금리 상승기여서 일단은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은 후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될 때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며 "기존에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사람도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타는 방안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주택 구입이 아니더라도 돈이 필요한 저소득 서민층이라면 정부의 서민 금융상품을 잘 알아두는 것이 좋다.

김학문 금감원 서민·중소기업지원실 팀장은 "저소득 저신용자는 성급히 2금융권을 찾기보다는 새희망홀씨와 햇살론, 미소금융, 바꿔드림론 등을 먼저 알아봐야 한다"며 "중간 신용등급이라면 사잇돌대출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laecor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