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권 쥐고자 고강도 도발 가능성…16일 광명성절 첫 고비
'美 대북정책 두고 보자'…저강도 반발에 그칠 수도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김효정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맞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할 것으로 보이면서 북한의 반응이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을 향한 첫 군사적 대북 메시지를 3월 시작되는 한미연합훈련 키리졸브(KR)와 독수리연습(FE)을 계기로 던질 가능성이 높다.
한미 국방장관은 지난 3일 회담에서 KR 및 FE 연합훈련을 강화해 시행하기로 했는데, 미국의 핵항공모함 전단이나 전략폭격기 등을 한반도에 전개하는 방안이 집중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렇지 않아도 한미 연합훈련을 트집 잡으며 해마다 도발해 온 북한이 올해라고 그냥 넘어갈 가능성은 작다.
북한은 이미 1일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담화에서 한미 연합훈련을 두고 "우리의 코앞에서 벌어지는 이러한 핵전쟁 연습이 그 어떤 상상할 수 없는 파국적 결과로 이어지겠는가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고 위협한 상태다.
관심은 북한의 반발 수위다. 북한은 대미·대남 충격을 극대화하려는 목표 아래 도발 여부와 강도, 시기 등을 저울질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나 6차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우선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에 자신들의 존재를 확실히 각인시켜 협상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생각이 깔렸을 수 있다.
그러나 군 당국은 실패 확률이 높은 ICBM보다는 괌을 사정권으로 두는 무수단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먼저 시도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시기적으로 첫 번째 고비는 오는 16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75번째 생일(광명성절) 전후로 관측된다. 국가적 명절을 맞아 정치적 '축포' 효과를 노리기 위해 조기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를 크게 틀어버릴 수 있는 고강도 도발에 섣불리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명확해지려면 국무부와 국방부의 핵심 실무자 인선이 마무리되는 5∼6월은 돼야 한다는 점에서 더 두고 볼 것이란 점에서다.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국의 최강일 부국장은 지난달 말 미국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정은을 만날 준비가 돼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그의 선거운동 수사(修辭)와 대통령으로서 정책 사이의 차이점을 두고 볼 것(wait and see)"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경우 북한은 탄도미사일이 아닌 방사포 등 단거리 발사체를 쏘며 저강도 도발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한은 한미가 협의 중인 미국 전략자산 투입이나 북한 수뇌부를 겨냥한 '참수작전' 성격의 훈련 등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책임연구원은 5일 "북한이 훈련 내용 등에 대한 맞대응 차원의 도발적 행태를 보일 수 있다"면서 "기술적인 준비가 되면 군사기술적 수요에 따라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전망했다.
kimhyo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