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정부군·반군과 모두 직접 대화"…유엔 "반군 대표 정해야"
(제네바=연합뉴스) 이광철 특파원 = 이달 2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시리아 평화회담의 참여범위를 놓고 주요 참여 집단 간 이견 때문에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애초 8일로 예정됐던 제네바 회담은 반군 참여범위를 정하는 문제 때문에 20일로 한차례 연기됐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러시아 시사주간지 '프로필'과의 인터뷰에서 지난달 23∼24일 열린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평화회담 결과에 만족한다며 시리아 정부, 반군 대표들이 직접 제네바 협상에 참석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가 반군 참여범위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아스타나 회담 때 처음으로 시리아 정부와 반군이 모두 참여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해 제네바 회담 때도 여러 분파로 나뉜 반군의 참여를 희망했다.
반면 스테판 데 미스투라 유엔 시리아 특사는 반군의 노선이 제각각이라 협상 진척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이달 8일까지 반군들이 협상에 참여할 대표를 정하라고 통보했다.
그는 반군이 대표단을 정하지 못하면 직접 대표를 뽑겠다고 밝혔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데 미스투라 특사의 발언을 지지했지만, 반군들은 유엔이 대표 선정에 관여하는 것에 반발하고 있다.
8일까지 반군이 협상단을 정하지 못하고 유엔이 협상단 구성에 나서면 반군의 반발이 커지면서 제네바 회담 일정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앞서 4일에는 터키 앙카라에서 터키의 지원을 받는 시리아 반군들이 모여 제네바 회담 의제를 조율했다.
이들은 러시아가 제안한 반군 자치지역 설치안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져 20일 협상 전까지도 의제, 참여범위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05//AKR20170205051700088_01_i.jpg)
mino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