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으로 만들겠다"던 광주 하남3지구 개발 10년째 '삽질 중'

입력 2017-02-08 14:30  

"명품으로 만들겠다"던 광주 하남3지구 개발 10년째 '삽질 중'

걸핏 하면 공사 중단에 설계도 어정쩡…3월말 준공 목표지만 공정률 겨우 50%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광주광역시가 환지(換地)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는 '하남3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하다.

2006년 처음 계획을 수립, 찬반 논란 등으로 수년 간 겉돌다가 겨우 착공했으나 지장물 철거, 부실설계, 문화재 발굴조사 등에 막혀 더디게 진행됐다.






8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광산구 하남과 흑석동 일대 61만여㎡에 사업비 770억원을 들여 택지개발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언제 준공될 지 가늠하기 어렵다.

특히 하남산단과 바로 인접한 이 지구는 환경친화적인 명품 택지개발을 기치로 내걸고 추진됐지만, 수시로 공사가 중단되고 명품이란 이름을 거론하기조차 부끄러울 만큼 기형적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이 사업은 2006년 개발계획을 수립한 뒤 사업 시행 여부와 개발 방식 등을 놓고 논란과 갈등이 빚어진 끝에 7년 만인 2013년 8월에야 첫 삽을 떴다. 2년 뒤인 2015년 완공이 목표였다.

그러나 착공 이듬해 문화재 발굴조사가 시작되며 1년 6개월 간 공사를 멈췄다.

곧 공사를 재개했지만 철거하거나 존치해야 할 지장물 때문에 한달 만에 다시 중단됐다. 이후 지난해 3월까지 그대로 방치됐다.

특히 준공을 한달 여 앞둔 지금까지 곳곳에 미철거 건물이 산재해 있다.

택지를 조성한 뒤 소유주에게 땅을 되돌려 주는 환지(換地) 방식으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체 824채 중 102채(12.4%)에 달하는 건물을 그대로 둔(존치한) 채 추진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환지 방식은 건물 등을 모두 보상하고 철거한 뒤 계획에 따라 택지를 조성한다. 그러나 이 곳은 10채 중 1채 이상의 건물을 존치한 채 설계와 시공이 이뤄졌다는 의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도로나 공원 등 각종 기반시설이 설계부터 기형적 구조가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광주시는 2015년 3월 체비지를 일반에 매각해 공사비를 마련해 준공 기일을 3월 말로 잡았으나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재 전체 공정률은 50%를 갓 넘긴 상태다.

광주시는 상업지역 등 부분 준공을 통해 토지 계약자의 불만을 해소할 계획이지만 실제 계획대로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광주시 관계자는 "하남 3지구는 사업 결정부터 논란이 적지 않았던 곳으로 어려운 여건이지만 공기를 맞출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icep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