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남해 배타적경제수역(EEZ)의 바닷모래 채취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하고 있다.
부산지역 레미콘업계가 모래 부족을 이유로 가동중단을 발표한 가운데 어민단체들은 8일 채취허가 재연장 결사저지를 선언했다.
수협중앙회와 업종별 수협 등으로 이뤄진 남해 EEZ 모래채취 대책위와 한국수산업총연합회,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등은 이날 오후 부산공동어시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남해 EEZ 골재채취단지의 기간연장 재허가에 반대하며 이를 강행하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어민단체들은 기자회견에서 "계속된 바닷모래 채취로 어류의 산란장과 서식지 상실로 생태계가 무너져 어민들의 삶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며 "그런데도 정부는 건설업자와 골재업자들의 경영난을 이유로 바닷모래 채취를 계속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92만t에 그쳐 44년 만에 100만t 선이 무너졌고, 특히 멸치는 40%나 급감하는 등 먹이사슬의 붕괴로 전체 어족자원이 고갈돼 가는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이는 결국 수산물 가격상승으로 이어져 국민 밥상에까지 피해를 준다고 어민단체들은 주장했다.
어민들은 "그 누구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바다를 파괴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며 "더는 바닷모래 채취를 연장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국토교통부가 10년 가까이 채취 기간 연장을 반복할 뿐 대체 방안 마련에 손을 놓고 있는 등 민간 골재업자 이익 대변에만 골몰한다고 비판했다.
어민단체들은 이달 22일 바닷모래 채취반대 정책 토론회를 열고, 정부 관련 부처들을 항의 방문하는 등 대정부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 서울과 부산에서 어업인 총궐기대회를 열고 해상시위도 벌이기로 했다.
이에 앞서 7일 부산레미콘공업협동조합은 11일부터 14일까지 50여개 레미콘 공장 가동을 일제히 중단하기로 했다.
조합 측은 지난달 중순 이후 바닷모래 공급이 중단되면서 원료인 모래가 없어 공장을 가동할 수 없는 처지라며 모래 파동이 조속히 해결되지 않으면 가동중단이 길어지고 각종 건설공사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 남부지역의 20여개 레미콘업체들도 모래 부족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할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과 경남의 레미콘업계는 통영에서 서쪽으로 70㎞가량 떨어진 EEZ 내 골재단지에서 채취한 바닷모래를 사용해왔는데 어민들의 반발로 지난달 중순부터 채취가 중단돼 모래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남해안 모래 채취는 2008년에 처음 시작돼 그동안 국토교통부가 4차례 연장을 허가했고, 다시 연장하려 하자 어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토부는 7일 오후 세종청사에서 해양수산부, 어민과 수산단체, 레미콘업계 관계자들과 대책회의를 열었으나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했을 뿐 성과 없이 끝났다.
lyh950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