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2017시즌 프로야구 개막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KBO리그 2017시즌 시범경기는 3월 14일에 시작하고 정규시즌은 같은 달 31일에 막을 올린다.
올 시즌 등록 선수는 614명에 이른다. 억대 연봉 선수는 158명으로 역대 최다다.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를 거쳐 친정으로 돌아온 이대호(35·롯데)의 연봉은 25억원이다. 토종 선수 중 최초로 개인 연봉 20억원대를 기록하며 1위를 기록했다.
리그 최고의 오른손 투수 더스틴 니퍼트(36·두산)가 올해 받는 210만 달러(약 24억원)는 역대 KBO리그 외국인 선수 중 최고 연봉이다.
삼성 라이온즈의 신인 김성윤의 키는 163㎝로 리그 최단신 신기록을 세웠다. 최장신인 장민익(26·두산)은 207㎝다.
최고령인 최영필(KIA)은 최연소인 이재용(NC)·김석환(KIA)의 아버지뻘이다.
올 시즌 프로야구 등록 선수와 관련한 숫자를 정리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09//AKR20170209038700007_02_i.jpg)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11/14//PYH2016111418950001300_P2.jpg)
▲ 17세 11개월 3일 = 역대 KBO리그 최연소 타이기록을 세운 이재용(NC 다이노스), 김석환(KIA 타이거즈)의 나이.
▲ 42세 8개월 23일 = 최고령인 최영필(KIA)의 나이.
▲ 158(명) = 역대 최다 인원을 기록한 억대 연봉 선수 수. 지난해보다 10명이 늘었다. 158명의 억대 연봉 선수 중 10억원 이상은 11명, 15억원 이상은 4명이다.
▲ 163(㎝) = KBO리그 최단신 선수 신기록을 세운 김성윤(삼성)의 키.
▲ 183(㎝) = 등록 선수 614명의 평균 키.
▲ 207(㎝) = 최장신인 장민익(두산)의 키.
▲ 614(명) = 2017 KBO리그에 등록된 총 선수 수.
▲ 150만(달러) = 외국인 타자 최고 연봉을 받는 윌린 로사리오(28·한화)의 연봉.
▲ 210만(달러) = 역대 KBO리그 외국인 선수 중 최고 연봉을 기록한 니퍼트의 연봉.
▲ 1억3천883만(원) = 외국인·신인 선수를 제외한 리그 평균 연봉.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한화 이글스의 평균 연봉이 1억8천430만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가장 높다.
▲ 2억3천987만(원) = 역대 최고를 기록한 구단별 연봉 상위 27명 기준의 평균 연봉. KBO리그의 실질적인 평균 연봉이라고 볼 수 있다. 한화(3억4천159만원), KIA(3억1천837만원), 롯데(3억707만원) 세 구단은 3억원 이상의 평균 연봉을 기록했다.
▲ 8억(원) = 역대 최고 연봉 인상 금액 타이를 기록한 최형우(34·KIA)의 연봉 인상 금액. 최형우는 지난 시즌을 마치고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어 삼성에서 KIA로 이적했다. 최형우의 연봉은 지난해 7억원에서 올해 15억원으로 올랐다.
▲ 15억(원) = 11년 차 최고 연봉 신기록을 세운 양현종(29·KIA)의 연봉.
▲ 25억(원) = 국내 선수 중 KBO리그 최초로 개인 연봉 20억원대를 기록한 이대호의 연봉. 김태균(한화·16억원), 양현종(KIA)·최형우(삼성·이상 15억원), 윤석민(KIA·12억5천만원)이 뒤를 이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1/30//PYH2017013009710001300_P2.jpg)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1/18//PYH2017011825670005400_P2.jpg)
ksw08@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12/20//PYH20161220427400013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