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 농장 휴전선과 10㎞ 거리…북풍·야생동물 매개 가능성
(의정부=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 경기도는 9일 확진된 연천 A형 구제역과 관련, "바이러스가 북한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09//AKR20170209127100060_01_i.jpg)
그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는 대부분 0형이며 A형은 2010년 1월 2~29일 연천·포천지역이 유일했다. 당시 6개 농가의 소가 A형 구제역으로 판명됐다.
경기도가 북한 유입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이 시기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비무장지대(DMZ)를 자유롭게 왕래하는 야생동물 등 두 가지 매개 때문이다.
이번에 A형 구제역이 발생한 연천군 군남면 젖소농장은 휴전선과 불과 10㎞가량 떨어져 있다. 개성 등 북한지역도 이 시기 구제역이 발생한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바람을 타고 최대 250㎞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돼 있으며 겨울은 대체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바람이 부는 시기다.
다른 하나는 고라니와 멧돼지 등 비무장지대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이 남북을 오가며 구제역 바이러스를 옮겼을 가능성이다. 그동안 가축 질병을 옮기는 매개로 너구리, 멧돼지 등 야생동물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경기도는 특히 이번에 구제역이 발생한 연천 젖소농장의 농장주가 최근 해외를 방문한 적이 없는 등 역학관계가 없고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에서 발생한 O형 구제역 바이러스와 유형이 다르다는 점에서 북한 유입설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다만 남북경색 등으로 북한지역에 대한 정보가 차단돼 현재 이 지역에 구제역이 창궐했는지는 파악되지 않은 상태다.
경기도 관계자는 "2010년 연천·포천지역에 구제역이 퍼졌을 때도 북한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다"며 "북한지역 구제역 상황을 파악하는 한편 인근에 확산하지 않도록 차단 방역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k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