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하원 원내대표, FBI수사 압박…매케인 "안보장치 제대로 작동안한다는 증거"
WP "사법당국, 플린 거짓말 지난달 보고…백악관이 계속 방치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워싱턴=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심인성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새 행정부의 안보사령탑이 정권 출범 한 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 러시아와의 부적절한 내통 의혹 속에 사퇴하면서 미국 정가에 만만찮은 파문이 일고 있다.
마이클 플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 보좌관의 '러시아 접촉 거짓 보고'를 백악관이 인지했지만,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일면서 민주당이 공세를 강화하는 형국이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ap/2016/12/22//PAP20161222016401034_P2.jpg)
![](http://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7/01/23//PEP20170123091901034_P2.jpg)
워싱턴포스트(WP)는 13일(현지시간) 반(反) 이민 행정명령에 반기를 들었다가 해임된 샐리 예이츠 전 법무장관 대행이 지난달 백악관의 한 고문에게 플린 관련 사항을 얘기했다고 보도했다.
오해의 소지가 있는 플린의 보고로 그가 러시아의 협박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게 주요 내용이었다.
플린은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세르게이 키슬략 주미 러시아 대사와 접촉하면서 '대(對) 러시아 제재 해제'를 논의한 사실이 폭로돼 난처한 입장에 내몰렸다.
특히 플린이 제재 해제 논의 사실을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비롯한 정부 고위 관계자들에게 거짓 해명을 함으로써 문제가 더욱 커졌다. 결과적으로 펜스 부통령이 언론에 나서 거짓을 말한 셈이 됐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플린은 펜스 부통령에게 러시아 제재 논의가 없었다고 장담했지만, 미국 관리들이 입수한 대화록을 보면 러시아 제재 얘기가 나온다"며 내정자 신분이었던 플린이 러시아 대사와 접촉한 게 '로건법'(Logan Act) 위반 소지가 있다고 전했다. 로건법은 민간인의 외교정책 관여를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WP는 예이츠 전 법무장관 대행으로부터 플린 관련 사항을 보고받은 이후 몇 주간 거짓 주장이 계속 나오는데도 백악관이 이를 내버려 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논란 끝에 플린은 결국 이날 오후 9시께 트럼프 대통령에 사임 의사를 밝힌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사임을 받아들이면서 플린은 초단명 백악관 선임 보좌관이라는 오명을 안게 됐다.
백악관의 한 고위급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사람 자르는 걸 즐기지 않기 때문에 플린이 스스로 사임 의사를 밝히도록 며칠간 시간을 줬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리얼리티 TV쇼 '어프렌티스'를 진행하면서 '넌 해고야'란 말을 유행시키며 일약 스타로 떠오른 점을 고려하면 의외라는 반응도 있다.
출범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 백악관 안보사령탑이 물러나자 트럼프 행정부는 안보 혼란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2/07//PYH2017020706460034000_P2.jpg)
미 민주당은 플린의 사퇴로 문제가 끝난 게 아니라며 즉각 공세를 강화하고 나섰다.
특히 낸시 펠로시(캘리포니아)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는 14일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과 러시아 연계 의혹에 관한 연방수사국(FBI)의 공식 수사를 촉구했다.
펠로시 원내대표는 "플린의 사퇴는 트럼프 대통령의 형편없는 판단력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인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개입 여부를 둘러싼 중대한 의문점에 대한 해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플린은 도대체 어떤 권한을 갖고 그렇게 행동했고, 또 누구에게 보고한 것이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미국 국민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러시아의 재정적, 개인적, 정치적 장악력이 어느 정도인지, 또 그것이 우리 국가안보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등 '러시아 커넥션'의 진실과 결과에 대해 알 권리가 있다"면서 "FBI는 트럼프 정부와 러시아의 커넥션에 대한 수사를 가속화하고 미 의회 역시 초당적이고 독립적인 위원회를 구성해 트럼프 정부와 미 대선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을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하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엘리엇 엥겔 의원 역시 "플린이 사임으로 올바른 일을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와 러시아 연계를 둘러싸고 답이 제시되지 않은 너무 많은 질문이 있다"며 철저한 수사 필요성을 제기했다.
같은 당 소속 존 코니어스(미시간) 의원과 일라이자 커밍스(메릴랜드) 의원은 공동 성명을 내고 플린 사퇴 문제와 관련한 기밀 브리핑을 의회에 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미 사법당국이 백악관 고문에게 플린이 러시아 정부와의 소통 관련 거짓 정보를 줬다는 경고를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명백히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는 것에 충격을 받고 실망했다"고 비판했다.
에릭 스월웰(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도 성명을 내고 플린의 사임으로 "얘기가 끝난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집권 여당인 공화당에서 비판이 흘러나왔다.
존 매케인(애리조나) 상원 군사위원장은 성명에서 "플린 장군의 사퇴는 지금의 국가안보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하나의 곤혹스러운 증거"라고 비판하면서 "플린의 사퇴는 또한 러시아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의도'에 대해 추가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의 대(對)러시아 정책을 분명하고 명백하게 해야 한다"고 충고다.
한편, 미 의회 공화당 1인자인 폴 라이언(위스콘신) 하원의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국가안보는 대통령이 가진 가장 중요한 기능이자 책임"이라면서 "대통령이 그의 사임을 요구함으로써 올바른 결정을 내렸다. 부통령과 다른 사람들을 오도하는 그런 국가안보보좌관을 둘 수는 없다"고 밝혔다.
kong79@yna.co.kr, si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