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수자원공사 총력 퇴치전 전개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정부가 '녹조라떼'라는 오명을 받는 4대강 녹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4대강 보 방류량 한도를 확대한 데 이어 하천 물관리를 맡는 수자원공사는 녹조 대응 전담 조직을 구성키로 했으며, 녹조 퇴치를 위한 신기술도 적극 투입된다.
15일 국토교통부와 수자원공사 등에 따르면 수공은 조직 개편을 통해 녹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개발(R&D)과 현장 대응 기능을 통합한 조직인 '녹조기술센터'를 이달 말까지 구성할 계획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4//AKR20170214190000003_03_i.jpg)
수공 관계자는 "녹조 퇴치를 연구하는 R&D 조직과 물관리 조직을 통합 운영함으로써 4대강 녹조 문제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녹조기술센터는 기존 수공의 수질환경부와 융합연구원 물순환 연구소, 수질연구센터 등 기존 부서가 통합 편성된 형태다.
이곳은 4대강의 수질 분석부터 오염원 저감대책, 제어기술 개발 등을 총괄하고 현장 관리도 직접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센터에 21명, 현장 조직에 49명 등 60명이 배치된다.
앞서 국토부와 환경부 등은 '2017년 댐·보·저수지 최적 연계운영방안'을 마련해 16개 보의 방류 한도를 기존 '양수제약' 수위에서 '지하수 제약' 수위까지 낮추는 한편 방류 시기를 기존 6~7월로 한정하지 않고 연중 수시로 하기로 한 바 있다.
지금까지는 녹조가 심해지면 보의 물을 일시적으로 조금씩 방류하는 '펄스방류' 방식을 택했지만 앞으론 방류량을 크게 늘리면서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방류하겠다는 것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4//AKR20170214190000003_02_i.jpg)
이와 함께 녹조를 퇴치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도 현장에 속속 투입되고 있다.
수공은 최근 연구개발을 마치고 성능확인까지 완료한 '멀티 녹조제거장치'를 올해 낙동강에 시범 투입하고서 이후 4대강 전 유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장치는 수중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 기포를 뿜어내 녹조를 응집시켜 수면으로 떠오르게 하고서 제거까지 할 수 있다.
녹조를 제거하면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고 물순환도 시켜 녹조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무엇보다 기존 황토는 녹조를 가라앉히는 데 그쳐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이 장치는 녹조를 완전히 걷어낸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수공이 작년 9~10월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죽산보 상류의 지류 유입부 정체구간에서 시험 가동한 결과 1시간 동안 엽록소 성분인 클로로폴(Chl)-a가 19%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4//AKR20170214190000003_01_i.jpg)
그러나 이같은 정부의 노력에도 4대강 보 관리를 둘러싼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정부가 4대강 보의 방류량을 늘린 것 자체가 물을 가둬놓고 이용한다는 4대강 보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기보다는 녹조 문제 해결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아직 일사량과 수온, 물의 체류시간, 오염물질 등 4가지 요인이 어떻게 작용했을 때 녹조가 발생하는 것인지 원인도 불분명한 상황에서 보 때문에 녹조가 생겼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며 "보의 수위를 적정 수준에 유지하면서 녹조가 많을 때만 일시적으로 방류량을 늘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bana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