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마다 공공급식센터 설치…중간 유통 빼고 신선한 식재료 공급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서울 시내 어린이집에서는 아이들이 친환경 식재료로 만든 급식을 저렴한 가격에 먹을 수 있게 된다.
서울시의회는 서윤기(더불어민주당·관악2) 의원의 대표 발의로 '서울특별시 도농상생 공공급식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제출됐다고 19일 밝혔다.
도농상생 공공급식은 어린이집 등 서울 시내 공공급식시설에 적절한 가격으로 친환경 식재료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시는 2011년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초등학교와 중학교 전체에 친환경 무상급식을 지원하고 있는데, 조례가 통과되고 사업이 시행되면 '무상'은 아니지만, 어린이집까지 '친환경' 급식이 확대되는 셈이다.
조례에 따르면 도농상생 공공급식 대상은 어린이집·아동복지시설·사회복지시설 등 공공 급식시설과 국가·지자체의 지원을 받는 기관, 단체, 시설 등이다.
사업은 자치구별로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해 산지와 직거래하는 유통 구조로 유통비를 절감하고, 친환경 식재료와 일반 식재료 간 차액을 시가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자치구별로 지방 지자체와 MOU를 맺어 해당 지역에서 생산한 친환경 먹거리를 중점적으로 들여오게 된다.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에는 2018년 202억원, 2019년 323억원 등 공공급식센터 건립과 식재료 차액 지원 등에 2021년까지 시비 1천144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조례는 "서울시장이 우수 식재료를 사용하는 등 급식의 질을 향상하고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할 수 있다"고 규정해 친환경 급식 지원을 명문화했다.
또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해 ▲ 공공급식 식재료 물류·유통 ▲ 생산 단계부터 소비 단계까지 저온유통체계와 안전성 관리시스템 구축 ▲ 원활한 수주·발주를 위한 통합전산시스템 운영 ▲ 공공급식 관련 각종 캠페인·교육·홍보 ▲ 도·농간 거리를 좁히기 위한 각종 교육과 체험사업 지원 등을 맡기는 내용을 담았다.
한 곳당 수백 명의 학생을 대단위로 먹이는 초·중학교와 달리, 상대적으로 소규모인 어린이집은 친환경 식재료를 여러 곳에 소량씩 배송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자치구마다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해 마치 '모세혈관'처럼 구석구석까지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어린이집 친환경 급식 정책을 총괄해 심의·자문하는 '컨트롤타워'인 공공급식위원회도 설치된다. 서울시 행정1부시장이 위원장을 맡고, 관련 부서 국장·시의회 의원·급식 관련 전문가·친환경농업 생산자 단체 추천자 등이 위원을 맡는다.
서윤기 의원은 "우수한 친환경 먹거리를 중간 유통마진 없이 아이들에게 공급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우리 아이에게는 좋은 농산물을 먹이고, 농촌 경제도 활성화할 수 있어 '매부 좋고 도시 좋고 농촌도 좋은'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 1곳에서 시범 사업으로 첫발을 뗀 뒤 연내 7개 자치구까지 확대, 이들 자치구 어린이집의 50%에서 친환경 급식을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내년에는 15개 자치구로 넓혀 소속 어린이집의 60%까지 참여시키고, 2019년부터는 서울 전역으로 확대해 관내 어린이집의 70%에서 친환경 먹거리를 먹일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도농상생 공공급식은 의무 사항이 아니므로 100% 참여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각 어린이집에서 신청해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례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시의회 심의 과정에서 바뀔 수 있지만, '큰 틀'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3∼4월 시의회를 통과해 5월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5//AKR20170215186400004_01_i.jpg)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