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이매진] 안동 병산서원, 한국 서원 건축의 백미

입력 2017-03-07 08:01  

[연합이매진] 안동 병산서원, 한국 서원 건축의 백미

(안동=연합뉴스) 이창호 기자 = 조선 시대 성리학 사상의 본거지인 서원은 조선중기 이후 지방의 사림이 설립한 사설 교육기관으로 지성과 교양의 요람이었다.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과 그의 셋째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 1582∼1635)을 배향한 병산서원의 전신은 안동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원이다.

선조 5년(1572) 서애가 현재의 장소로 옮겼는데, 이때 서애는 그 이유로 “읍내 도로변은 공부하기에 적당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후 광해군 6년(1614) 유림들이 서애의 업적과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존덕사(尊德祀)를 지으면서 서원으로 위상이 변모했고, 철종 14년(1863)에 병산서원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당시 훼철(毁撤)되지 않은 47곳 가운데 하나다.




서애 류성룡은 학봉 김성일과 함께 퇴계 이황의 제자다. 퇴계가 ‘하늘이 내린 인재이니 반드시 큰 인물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던 것처럼 서애는 임진왜란을 극복한 명재상으로 이름을 남겼다. 임진왜란 때 영의정에 오른 서애는 대동법 모태인 작미법(作米法)을 실시했고, 속오군을 만들어 양반들에게도 병역의무를 지웠으며, 천민들도 종군을 조건으로 면천해주고 공을 세우면 벼슬까지 주었다. 또 이순신 장군과 권율 장군을 발탁해 후원했다.

변덕이 심하고 이중인격자로 알려진 선조가 압록강을 건너 요동으로 가려고 하자 서애는 “임금의 수레가 우리 땅을 한 발자국이라도 벗어나면 조선은 우리 것이 아니다”며 강력하게 제지하면서 국란 타개책을 세웠다. 설득과 통합의 리더였던 서애는 임진왜란의 원인과 전황을 기록한 ‘징비록’(懲毖錄)을 남겼다.

장석길 문화관광해설사는 “병산서원은 완만한 화산을 등지고 앞의 낙동강과 절벽 병산 사이에 자리해 강학과 수양에 좋은 곳”이라며 “절묘한 경치뿐만 아니라 지형의 높낮이를 이용한 뛰어난 건축물로도 유명하다”고 말한다.





◇ 만대루 아름다움, 건물 위용보다는 자연스러움에


‘한국 서원 건축의 백미(白眉)’로 불리는 병산서원은 가는 길도 아름답다. 하회마을 입구에서 왼쪽으로 난 흙길을 4km 정도 가면 서원이다. 차 한 대가 지나갈 정도의 좁은 구비길 너머 또 구비길이 펼쳐지고, 그 아래로 낙동강도 굽이 흐른다. 풍광에 취하다 보면 어느새 산비탈에 가지런하게 세워진 건축물이 나타나고, 서원은 첫눈에도 아름답고 위엄 있다. 갓 피어나려는 꽃봉오리 같은 화산을 등지고 있는 병산서원은 절벽같이 펼쳐진 병산과 모래밭을 감고 흐르는 낙동강과 어울려 한 폭의 풍경화를 연출한다. 아늑하고 평화롭다. 공부하기에 이보다 더 좋을 순 없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서원의 정문인 복례문(復禮門)은 자신을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라는 논어의 ‘극기복례’(克己復禮)에서 따온 말이다. 솟을삼문 앞에 서면 시선이 만대루를 거쳐 입교당까지 연결된다. 축선을 이용한 장점 중 하나로 공간의 연속성과 흐름이 확연히 드러난다. 장석길 문화관광해설사는 “서원의 측면인 만대루 동편에 있었던 것을 옮겼다”며 “병산의 험한 형세를 피하고자 했던 풍수원리가 담겨 있다”고 설명한다.

대문에 들어서면 왼쪽으로 만대루와 복례문 사이에 물길을 끌어들여 만든 광영지(光影池)가 눈길을 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땅을 의미하는 네모진 연못 가운데, 하늘을 상징하는 둥근 섬’을 둔 ‘천원지방’(天圓地方) 형태의 연못이다.





대문 앞으로는 2층 누마루인 만대루(晩對樓)가 압도하듯 서 있다.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해 지은 만대루는 긴장된 수양생활의 피로를 풀기 위한 휴식과 강학의 복합공간이다. 만대루 이름은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 ‘백제성루’(白帝城樓)의 한 구절인 ‘취병의만대 백곡회심유’(翠屛宜晩對 白谷會深遊)에서 따왔다. 이 구절은 “푸른 병풍처럼 둘러쳐진 산수는 늦을 녘 마주 대할 만하고, 흰 바위 골짜기는 여럿 모여 그윽이 즐기기 좋구나”라는 뜻이다.

만대루의 아름다움은 건물의 위용보다는 자연스러움에 있다. 위와 아래층 모두 기둥만 있고 문과 창, 벽이 없이 목조 뼈대만 강하게 드러낸다. 만대루의 아래 기둥들은 목재를 다듬지 않고 그대로 썼기 때문에 휘어진 모습 그대로의 기둥이 건물을 떠받치고 있다. 주춧돌도 가다듬지 않은 자연석으로 거칠고 투박하다. 본래 땅속에 있었던 돌 같은 느낌을 준다. 인공의 냄새를 전혀 풍기지 않는다. 건축물이 인공 구조물이라는 인상을 지우려 한 의도가 엿보이는, 우리나라 옛 건축의 ‘자연 닮기’다. 건축학도들이 우리 옛 건축을 공부하기 위해 가장 많이 병산서원을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면 7칸, 측면 2칸의 우람한 건물인 만대루는 2층으로 올라가야 진면목을 느낀다. 누마루를 오르는 계단도 커다란 통나무를 도끼질로 서너 곳 잘라 내어 인상적이다. 200여 명이 앉을 수 있다는 너른 만대루에 오르는 순간, 가슴이 확 트인다. 벽과 문, 창이 없어 텅 비어 있는 느낌이다. 대신 8개 기둥으로 만들어진 7칸의 공간은 사시사철 변하는 7폭 병풍을 보여준다. 병산의 푸른 절벽과 노송, 굽이치는 낙동강과 백사장이 한눈에 들어온다. 시선이 한참을 붙들렸고 차디찬 강바람이 정체된 정신을 깨운다.

유생들은 만대루에 앉아 시회를 열며 담소를 나누었고, 강물과 병산을 바라보면 심신을 수양했을 것이다. 천장도 휘어진 통나무 대들보를 그대로 살려냈다. 수백 년 묵은 세월의 더께가 그대로 느껴진다. 자연과 하나 되려는 성리학자의 높은 안목과 미의식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 텅 빈 강학당 들어서니 유생들 목소리 들리는 듯



만대루를 내려와 마당으로 들어서면 맞은편에 강당 건물인 입교당(立敎堂)이 자리한다. 1.8m의 높직한 기단 위에 놓여 있는 입교당의 마루에 앉으면 만대루를 통해 낙동강과 병산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스승과 제자 간에 가르치고 배우는 소통의 공간인 입교당은 전형적인 5칸의 강당 구성으로 가장 크고 견실한 건물이다. 3칸의 대청으로된 강학당과 양쪽에 온돌방을 배치했다. 대청에서 북쪽의 판문을 열면 뒷마당 풍경과 장서각이 들어온다.

툇마루가 마련된 동쪽의 명성재(明誠齋)에는 서원의 원장이 기거했으며, 서쪽의 경의재(敬義齋)는 부원장이나 교수들이 머물렀다. 강학당은 유생들이 한 달 동안 자습한 내용을 구술로 시험 보는 강회를 위한 장소로 지금은 텅 비어 있지만 학문에 정진하는 유생들의 목소리가 귓전을 울리는 것 같다. 서원의 교육은 철저하게 자습 위주였다. 교수가 과제를 내주면 유생들은 스스로 공부하며 강회 때 교수진 앞에 불려나가 공개 구술시험을 봤다. 합격하면 다음 과제를 부여받지만 떨어지면 유급됐다.

병산서원은 입교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재(東齋)와 서재(書齋)를 배치했다. 상급생 기숙사인 동재는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크기가 다른 온돌방이 배치돼 있다. 편액은 ‘거동을 바르게 하라’는 뜻을 담은 동직재(動直齋)이다. 동재와 마주 보는 서재는 동재와 규모는 똑같으나 작은방에 책을 보관하는 방이라는‘장서실’현판이 걸려 있다.

동·서재의 규모로 보아 수용 인원은 최대 20명 정도에 불과했을 것으로 보인다. 동재의 주춧돌도 기둥의 크기에 맞게 사용한 것이 아니다. 어떤 것은 기둥에 비해 황당하리만치 큰 주춧돌을 놓았고 기둥을 일부러 주춧돌의 한쪽 귀퉁이에 세우기도 했다. 자연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인공의 흔적을 지운 느낌이다. 오래도록 보면 자연에 순응하는 소박한 심성이 느껴진다.







◇ 전사청 담장 아래 ‘청렴결백 상징’백일홍 심어



입교당과 동재 사이를 돌아 들어가면 서애 선생과 수암의 위패가 모셔진 존덕사가 나타난다. 서원에서 가장 윗부분에 위치한 사당으로 들어가는 신문(神門)은 3칸의 지붕을 하나로 덮은 평산문 형식으로 사당의 출입문답게 붉은 색칠을 하여 부정한 것의 접근을 막고 있다.

존덕사 왼쪽 아래에는 책을 찍는 목판을 보관하던 장판각(藏板閣)이, 오른쪽 아래에는 사당에 올릴 제수를 준비하던 전사청(典祀廳)이 들어서 있다. 입교당에서 보면 후면 왼쪽으로 비켜서 있는 장판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습기를 피하려고 정면에 모두 판문(板門)을 달았다. 전사청으로 들어가는 판문과 계단식으로 경사진 담장 아래로 청렴결백한 선비를 상징하는 백일홍을 심었다. 조경은 단순한 나무 심기에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 건축을 완성한다는 우리 옛 건축의 일면을 보여준다.

전사청 아래쪽에 있는 주소(廚所)는 안동지방 특유의 뜰 집, 즉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 형태의 살림집이다. 평소에 서원의 관리인이 거주하였고, 봄·가을 향사(享祀) 때는 참석자들을 위한 숙소로 이용됐다. 거주인의 낮은 신분 때문에 서원의 담 밖에 배치했는데, 고직사(庫直舍)라고도 부른다. 주사 앞 ‘달팽이 뒷간’은 유생들의 뒷바라지를 하던 일꾼들이 사용하던 화장실이다. 진흙 돌담의 시작 부분이 끝 부분에 가리도록 둥글게 감아 세워 놓았고, 출입문은 물론 지붕도 따로 없다.

하얀 모래사장이 넓게 펼쳐진 서원 앞 강가로 나섰다. 낙동강에 발을 내린 산이 병산이고, 그 절벽 아래로 푸른 강물이 쉼 없이 흘러간다. 뒤돌아서서 자연과 조화된 병산서원의 미(美), 우리 옛 건축의 아름다움을 되새겨본다.







※ 이 기사는 연합뉴스가 발행하는 월간 '연합이매진' 2017년 3월호 [문화유산] 코너에 실린 글입니다.

chang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