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출범후 G2 외교 사령탑 첫 대좌서 강력 메시지
中기업 겨냥한 '세컨더리 보이콧' 염두에 둔 채 압박했을 개연성
(본<독일>=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린 미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중국의 대북 영향력 행사를 강력 촉구했다.
미국 국무부 마크 토너 대변인 대행에 따르면, 틸러슨 장관은 17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 계기에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처음 만났다.
이 자리에서 틸러슨 장관은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의 증가된 위협을 강조하고, 모든 가용한 수단을 동원해 안정을 저해하는 북한의 행동을 완화시킬 것을 중국에 촉구했다고 토너 대행은 전했다.
틸러슨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중국의 대북 영향력 행사를 견인하자는 데 뜻을 같이한 전날 한일 및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틸러슨 장관은 윤병세 외교장관과의 지난 7일 전화통화와 16일 양자회담에서 중국의 대북 영향력 행사를 유도하기 위해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을 제재하는 세컨더리보이콧을 시행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틸러슨이 중국 기업에 큰 타격을 줄 세컨더리보이콧 시행을 염두에 둔 채 왕 부장에게 대북 영향력 행사를 압박한 것일 개연성이 있다고 외교가는 보고 있다.
또 틸러슨 장관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전화통화에 주목하고, 양국간의 '차이'를 건설적으로 다뤄가며 양국간 협력을 진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데 대해 언급했다고 토너 대변인 대행은 소개했다.
아울러 무역과 투자를 위한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만들 필요에 대해 두 장관은 의견을 교환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미국은 세계 안정을 위해 공동의 책임이 있다"고 밝힌 뒤 "미중간 공동의 이익(interest)이 차이를 훨씬 능가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jhcho@yna.co.kr
(끝)
![](https://img.yonhapnews.co.kr/photo/ap/2017/02/17//PAP20170217175301034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