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진행동 "이재용 구속은 촛불의 힘…조기 탄핵·특검 연장"
탄기국 "고영태 일당, 대통령·삼성 무너뜨리려 기획 폭로"
(전국종합=연합뉴스)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과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특별검사팀 수사가 막바지로 치닫는 가운데 박 대통령 탄핵 찬반단체들의 대규모 집회가 주말인 18일 열렸다.
16번째 열린 탄핵 촉구 촛불집회는 국정농단 사태의 한 축으로 지목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 의미를 짚고, 삼성으로 부터 뇌물수수 의혹을 받는 박대통령의 조속한 탄핵과 특검 수사기간 연장을 요구했다.
탄핵 반대 '태극기 집회'도 세를 결집해 맞불공세를 이어갔다. 탄핵 정국을 '최순실 게이트' 핵심 폭로자 고영태 전 더블루K 이사가 기획한 '사기극'으로 규정하고, 이 부회장 구속이 박 대통령을 뇌물죄로 엮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8//AKR20170218068400004_01_i.jpg)
◇ 촛불 "탄핵지연 어림없다…황교안, 특검 연장해야"
촛불집회를 주최하는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탄핵 지연 어림없다! 박근혜·황교안 즉각퇴진! 특검연장! 공범자 구속을 위한 16차 범국민행동의 날' 집회를 개최했다.
퇴진행동은 이 부회장 구속이 재벌을 국정농단 사태 '공범'으로 지목한 촛불 여론이 이룬 성과로 평가하고, 박 대통령 측이 탄핵심판을 계속 지연하려 시도한다고 비판하면서 헌재에 조속한 탄핵 인용을 촉구했다.
퇴진행동 법률팀장 권영국 변호사는 "'삼성은 구속되지 않는다'는 신화가 깨지고 법 앞의 평등을 실현했지만, 헌정 유린을 비호하는 세력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탄핵심판이 더는 지연돼서는 안 되며, 황교안 권한대행은 특검 수사기간을 반드시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형수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부지회장은 "아무도 구속을 예상하지 못한 이재용을 구속하고, 박근혜마저 구속할 수 있는 것이 촛불의 힘"이라며 "국민이 개·돼지가 아닌 대한민국 주인임을 이제는 재벌들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최근 여야 4당의 '헌재 탄핵심판 승복' 합의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박석운 퇴진행동 공동대표는 "얼핏 그럴싸한 신사협정 같지만, 헌정 유린 공범이면서 반성도 없이 간판만 바꾼 자유한국당은 합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정치권은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1천만 촛불에 승복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촛불집회의 단골 프로그램 '소등 퍼포먼스'에서는 박 대통령에게 '퇴장'을 요구하는 뜻으로 참가자들이 일제히 촛불을 껐다가 붉은 종이를 대고 불을 켜는 '레드카드' 퍼포먼스가 등장하기도 했다.
참가자들은 집회를 마치고 청와대 방면 3개 경로, 헌재 방면 2개 경로, 대기업 사옥이 있는 종로 등 6개 경로로 행진했다. 박 대통령·황교안 권한대행 퇴진과 헌재의 탄핵 인용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안희정 충남도지사, 전날 국민의당에 입당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등 야권 대선주자들도 당원들과 함께 촛불집회에 참석해 탄핵 요구 여론에 힘을 실었다.
앞서 중구 장충체육관에서는 시민 2천여명이 모여 한국사회 각종 현안을 논의하는 시민대토론회가 열렸다.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 삼성 직업병 문제 등 다양한 주제로 사전행사가 이어졌다.
서울 외 지역에서도 조기 탄핵과 특검 연장을 촉구하는 집회가 이어졌다.
'박근혜정권 퇴진 전북시국회의'는 전북 전주시 관통로사거리에서 집회를 열어 "탄핵심판을 지연시키려고 대통령 대리인단이 꼼수를 쓰고 있다"고 비판했다. 집회에는 민주당 대선주자 이재명 성남시장도 참석했다.
부산 부산진구 서면 중앙로에서 열린 촛불집회에서도 헌재의 신속한 탄핵 결정과 박 대통령 즉각 퇴진을 촉구하고, "이재용 부회장 구속이 정경유착을 끊는 고리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퇴진행동은 이날 서울 80만명을 비롯해 전국에서 연인원(누적인원) 84만5천명이 모였다고 발표했다.
퇴진행동은 다음 주말인 25일에는 전국에서 서울로 모이는 집중집회를 열 계획이다. 이어 3·1절에도 다시 한 번 대규모 집회를 개최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8//AKR20170218068400004_02_i.jpg)
◇ 태극기, 이재용 구속 비판…"고영태 수사해야"
탄핵에 반대하는 친박(친박근혜)단체들은 박 대통령 탄핵 기각과 고영태 전 이사에 대한 수사를 요구하고, 이재용 부회장 구속을 비판했다.
'대통령 탄핵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 운동본부'는 18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13차 탄핵반대 태극기집회'를 열었다.
탄기국은 이날 집회에서 탄핵 정국을 고영태 전 이사가 기획한 '남창게이트'결과로 규정하고, 특검이 그를 수사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 부회장 구속을 두고도 삼성이 국내총생산(GDP)의 20%를 담당하는 점을 강조하며 "어떻게든 박근혜 대통령을 옭아넣으려는 야욕"이라고 주장했다.
탄기국은 헌법이 보장한 '국민저항권'을 발동해 '국민저항본부'를 발족한다면서 "죽음으로 맺은 약속을 바탕으로 결사 항전할 것을 천명한다. 이제는 합법적인 테두리 내에서 단순히 평화적인 방법을 넘어설 것"이라고 예고했다.
정광용 탄기국 대변인('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박사모) 회장)은 '태극기 여론'을 정치적 기반으로 삼아 박 대통령을 추대, 새로운 정당을 만들고 싶다는 뜻을 밝혀 참가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는 노승일 K스포츠재단 부장이 '박근혜와 최순실, 삼성과 싸워야 한다'고 최근 발언한 사실을 지적하면서 "고영태 일당이 박 대통령과 삼성을 무너뜨리려고 기획 폭로를 했다"고 규탄했다.
탄기국 집회에는 한국당 김진태, 조원진, 윤상현, 전희경, 박대출 등 친박계 의원들을 비롯해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인제 전 최고위원, 대통령 측 탄핵심판 법률대리인 김평우·서석구 변호사 등도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1부 집회를 마치고 약 1시간 30분가량 남대문·한국은행·롯데호텔 앞 등을 지나는 약 4㎞ 코스를 따라 도로로 행진했다.
주최 측은 이날 집회에 250만명이 참가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시간대 종로 청계광장에서는 '새로운 한국을 위한 국민운동'이 탄핵 반대집회를 열었다. 대선 출마를 준비 중인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도 참석했다.
경찰은 서울시내에 경비병력 190개 중대(약 1만5천명)를 배치, 두 집회 참가자 간 충돌을 막고 질서를 유지하는 데 주력했다.
탄기국 집회 참가자 1명이 서울시청 앞에서 무단횡단 도중 경찰에게 제지당하자 폭력을 행사해 연행되기도 했으나, 양측 간 별다른 충돌은 없었다.
보수단체는 대전과 경남 창원에서 탄핵반대 집회를 개최했다.
'박사모 가족중앙회' 등 25개 보수단체로 구성된 '태극기 행동본부'는 이날 오후 대전 중구 서대전 시민공원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기각을 촉구하는 집회를 했다.
이들은 "박 대통령 탄핵은 확실한 물증 없이 언론이 제기한 정황 증거만으로 너무 일방적으로 진행됐다"며 "특검도 박 대통령의 유죄를 찾으려고 일방적인 수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남 창원시 창원광장에서도 오후 2시부터 보수단체인 '마창진 구국행동시민연합' 주최로 탄핵반대 집회가 열렸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8//AKR20170218068400004_03_i.jpg)
(이경욱, 김소연, 차근호, 임채두, 장영은, 박지호, 변우열, 정회성, 이경욱, 이재현, 손대성, 임기창, 권영전, 이재영, 이효석, 이승환, 김현정 기자)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18//AKR20170218068400004_04_i.jpg)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