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 독살', 北 생화학물질 무기화 능력 보여줘(종합)

입력 2017-02-21 17:25   수정 2017-02-21 17:27

'김정남 독살', 北 생화학물질 무기화 능력 보여줘(종합)

국방연구원 "치명적 독극물 보툴리눔 등 5종 무기화 추정"

軍, 北독총 입수 시험사격 20m서 표적 관통…北, 독탄환도 개발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군 당국은 김정남 '독살'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어떤 식으로든 개입했을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이번 사건은 북한이 생화학물질을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했다.

말레이시아의 수사로 북한이 암살의 배후라는 증거가 속속 드러나고 있지만, 김정남의 숨을 멎게 만든 독극물의 정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북한은 유사시 생화학물질을 생물무기나 화학무기로 전용할 수 있는 기술과 시설을 갖춘 것으로 군과 정보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21일 "북한은 40종에 가까운 생물무기용 병원체와 화학작용제를 보유하고 있다"면서 "김정남 암살 사건을 계기로 이들 생화학물질을 무기화할 수 있는 의지가 있고 실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군은 북한이 다양한 종류의 생물무기를 자체 배양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고, 2천500∼5천t의 화학무기를 저장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지난해 발간한 공식 자료에 의하면 북한이 보유한 생물무기용 병원체는 13종이다.

7종의 세균작용제(탄저균, 브루셀라, 야토균, 장티푸스 등)와 1종의 리케차(발진티푸스), 3종의 바이러스(천연두, 황열병, 유행성출혈열), 2종의 독소(보툴리눔, 황우) 등이 대표적인 생물무기용 병원체이다.

일본의 옴진리교가 도쿄에서 여러 번에 걸쳐 살포한 보툴리눔은 지구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독극물이다.

KIDA와 군 당국은 "이 가운데 무기화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천연두, 페스트, 콜레라, 보툴리눔 등 5종"이라며 "특히 탄저균은 치사율이 높아 무기화가 가장 유력시되는 작용제"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평양에 있는 국가과학원 예하의 제1생물연구소, 평성의 미생물연구소, 평북 피현군 백마리 세균무기연구소, 평북 정주 25호공장, 평북 선천 세균연구소 등 17개소의 생물무기 연구 및 배양·생산시설을 운영 중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KIDA의 한 관계자는 "북한은 다양한 종류의 화학무기를 대량으로 제조해 한반도 전역에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화학무기 보유량은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보유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화학작용제는 25종에 달한다.

화학적 성질에 의해 인명을 살상하는 화합물인 화학작용제는 질식작용제, 신경작용제, 혈액작용제, 수포작용제 등이 있다.

사린(GB), V-작용제(V계열) 등 신경작용제 6종, 겨자(HD)와 루이사이트(HL) 등 수포작용제 6종, 시안화수소(AC) 등 혈액작용제 3종, 포스겐(CG) 등 질식작용제 2종, 구토·최루작용제 8종 등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다 2가지 혼성화합물로 이뤄진 화학작용제를 개발 중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군의 설명이다.

북한은 함흥 2.8 비날론 단지 등 16개소의 화학무기 관련 시설을 운용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보유한 화학무기 투발수단은 포병부대의 야포와 방사포, 전략군의 각종 미사일, 항공 및 반항공군의 항공기 등으로 다양하다"면서 "이런 화학무기 운용 능력으로 전시에 전·후방지역에 동시 투발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정남에게 사용된 독극물이 신종 물질일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무인기나 특수요원에 의해 서울 등 대도시에 은밀하게 살포할 경우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내고도 원인 추적을 어렵게 할 능력도 갖춘 셈이다.

한편 북한은 2012년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시리아 정부군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수출했을 가능성도 제기된 바 있다.

미국 국방정보국 선임정보분석관을 지낸 브루스 벡톨 안젤로주립대 교수는 "북한은 1990년대부터 탄도미사일과 재래식 무기를 비롯해 다양한 무기프로그램을 시리아에 수출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것은 화학무기였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북한은 생화학물질을 주입하는 만년필형(단발형) 독총과 손전등형(3발형) 독총을 개발해 실제 사용하는 것으로 군은 파악하고 있다.

만년필형 독총은 길이 130㎜, 직경 10㎜, 무게 57g으로, 오른쪽으로 5번 돌리고 뚜껑을 밀면 발사되는 원리이다. 군 당국이 북한의 만년필형 독총을 입수해 시험사격한 결과 20m 거리에서 발사해도 표적을 뚫을 수 있는 위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손전등형 독총은 길이 165㎜, 직경 37㎜, 무게 263g으로 안전 장치를 빼고 발사버튼을 누르면 1발이 발사된다. 다시 한번 누르면 장전되고 재차 누르면 발사되는 데 3발까지 발사할 수 있다.

이들 독총에는 독탄환이 사용된다. 독탄환은 길이 18㎜, 직경 5.6㎜, 무게 1.8g인 구리재질이다. 전면에 길이 5.6㎜, 두께 0.4㎜ 합성수지 뚜껑이 달려있고 뚜껑 안쪽은 철재 칼날이 고정되어 있다. 탄환에는 독극물인 '브롬화네오스티그민' 0.11g이 들어 있다.

독총으로 독탄환을 발사해 인체에 닿는 순간 철재 칼날이 합성수지 뚜껑을 깨뜨리고 사람의 몸 속으로 파고들어 브롬화네오스티그민이 주입된다. 브롬화네오스티그민은 청산가리보다 5배나 독성이 강해 소량만 투입해도 사망하는 맹독성 물질이다. 백색의 결정성 가루로 냄새는 없고 쓴맛이 난다.

군 관계자는 "유사시 적 특수작전부대가 독총으로 주요 직위자에 테러를 가한다면 죽음에 이르게 하는 원인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three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