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델리=연합뉴스) 나확진 특파원 = 인도와 중국이 22일 베이징에서 외교차관급이 참석하는 첫 전략대화를 열고 파키스탄 테러단체 제재 등 현안에 대한 해법을 모색한다.
지난해 8월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의 인도 방문 당시 양국 외교부 회의를 실무선에서 차관급으로 격상하기로 한 합의에 따라 개최된 이번 대화에는 수브라마니암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 차관과 장예수이(張業遂)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참가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5/01/30//PEP20150130011901034_P2.jpg)
자이샨카르 차관은 회의에 앞서 "인도와 중국 관계는 국제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중요하다"면서 "양국은 국경을 평화롭게 유지하고 있고 여러 국제 사안에서 협력하는 등 오랫동안 지속해서 관계를 발전시켰다"고 평가했다.
장 부부장도 "이번 회의에서 양국에 중요한 모든 범위의 문제를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힌두스탄타임스 등 일부 인도 언론은 인도가 원자력공급국그룹(NSG) 가입과 파키스탄 무장단체 '자이시-에-무함마드'(JeM) 수장 마수드 아즈하르에 대한 유엔 제재 문제에 큰 관심을 보이지만 이에 대한 중국의 반대가 완강해 이번 회의에서 실질적 관계 진전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는 JeM이 지난해 1월 인도 북부 펀자브 주의 파탄코트 공군기지에 침투해 인도군 7명을 살해하는 등 자국에서 수차례 테러를 저질렀다고 주장하며 지난해부터 아즈하르를 유엔 국제 테러리스트 명단에 올리고자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이 문제를 인도와 파키스탄이 양자 협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태도를 취하면서 인도의 제안을 반대하고 있다.
한 중국 학자는 힌두스탄타임스에 "중국이 이 문제로 파키스탄을 버리지 않을 것"이라며 인도가 아즈하르 제재는 중국을 통하기보다 파키스탄에 직접 문제를 제기하는 게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또 몇 해 전부터 원자력발전 연료 물질과 기술 등 수출을 통제하는 국제 협의체인 NGS에 가입하고자 시도하고 있지만, 중국은 인도가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가입하지 않고서는 NSG에 가입할 수 없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로서는 NPT에 가입하면 현재 보유한 핵무기를 모두 폐기해야 하기에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 등만 수용하면서 NSG에 가입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미국 등은 이에 찬성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02/15//PYH2016021514190032000_P2.jpg)
ra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