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명 중 34명 박사, 18명 학위 과정…직원끼리 호칭도 '박사'
(청주=연합뉴스) 변우열 기자 = "이 박사, 오늘 업무보고 자료 정리 끝냈으면 가져오세요"
충북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연구기획팀에서 직원들을 부르는 호칭은 박사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2/23//AKR20170223063300064_01_i.jpg)
이 팀의 이재선(44) 농업연구사가 지난 22일 충북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면서 직원 3명이 모두 박사가 됐다.
이 연구사는 2012년 박사과정을 시작해 마늘의 유전적 육종을 연구, 6년여 만에 '마늘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과 SSR마커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 및 우수자원 선발'을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 농업기술원에서는 같은 날 박사 2명이 더 탄생했다.
정재현(53) 농업연구사와 김선국(38) 농업연구사가 각각 '마늘 춘파재배가 단구 형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 포도 해충의 발생생태와 방제전략'의 논문으로 같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 농업기술원의 농업연구직 67명 가운데 50%를 웃도는 34명이 박사다.
웬만한 연구소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박사 과정을 마치고 논문을 준비하는 직원이 14명이고, 박사 과정을 밟는 직원도 4명이 더 있어 이들이 모두 학위를 받으면 박사가 52명이 된다. 이렇게 되면 직원의 77%가 박사학위를 갖게 된다.
'전 직원의 박사화'라는 진담반 농담반의 얘기까지 나온다.
많은 박사를 배출하는 것은 농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신품종 육성은 물론이고, 다양한 농업 경영 전략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도 농업기술원이 직원들의 연구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이다.
박사 직원 상당수가 농업기술원에 근무하면서 학위를 취득했다.
도 농업기술원의 차선세 원장은 "우리 농업의 미래는 인재양성에 달려있다"며 "농업기술원의 직원들이 왕성한 연구활동을 펼쳐 창조농업을 실현할 수 있는 디딤돌을 쌓아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bw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