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룰 협상 난항…절충안 거부돼 28일 합의 여부 불투명
(서울·나주=연합뉴스) 홍지인 박수윤 기자 = 국민의당 대권 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천정배 전 대표는 27일 당의 지역적 기반인 호남 지역을 찾아 당심 공략에 온 힘을 쏟았다.
세 후보는 이날 오후 전남 나주에서 열린 당 기초단체장 및 지방의원 합동연수에 나란히 참석했다.
안 전 대표는 연설을 통해 "지금 대한민국 국민은 국민의당이 만든 여소야대, 국민의당이 만든 세상에 대한민국 국민은 살고 있다"며 자신이 이끈 총선 승리를 부각했다.
그는 또 "이번 대선은 특별하다. 이번 대선 결과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에서 우리가 1당이 될 것이고 그다음 총선에서 우리가 자력으로 1당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손 전 대표는 "탄핵 인용이 되면 누가 대통령이 될까 생각할 텐데 지방의 사정을 잘 알고 이것을 일자리로 연결할 수 있고 복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능력, 경험을 갖고 안정적으로 개혁을 이뤄낼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자신을 내세웠다.
또한 "손학규가 국민의당을 집권의 길로 이끌어 대한민국을 함께 잘 사는 나라로 만들고 지방자치가 활활 타올라 국민 모두에게 저녁이 있는 삶을 드리는 정부를 만들겠다"면서 개헌을 통한 지방자치 실현을 제안했다.
천 전 대표는 "가장 강력한 개혁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그리고 개혁 연정을 추진해야 한다.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에 우리가 집중해야 한다"며 "이 세 가지에 당력을 모을 때 우리가 집권도 할 수 있고 대한민국 미래를 열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또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세력과 지도자들, 어떤 경우에도 기득권과 패권과 타협하지 않고 배짱 있게 정치생명과 모든 것을 걸고 개혁을 성공시킬 세력과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 후보는 4당 체제에서의 국정운영 방향을 놓고 각기 다른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
안 전 대표는 "선거제도가 개편돼 다당제가 제도적으로 보장된다면 180석 제한은 필요가 없고 150석을 넘는 쪽의 의사가 반영되도록 하는 일종의 개혁연대가 훨씬 제도적으로 가능하리라 본다"며 선진화법 개정을 제안했다.
그러나 손 전 대표는 "권력구조의 문제라 선거법 개정만으로는 되질 않고 개헌을 통해 연립정부 제도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천 전 대표는 "개혁 연정을 지금부터 해 나가서 황교안 권한대행 탄핵도 하고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도 만드는 노력을 지금부터 해야 한다"며 "바른정당의 협력은 반드시 얻어와야 한다"고 연정에 방점을 찍었다.
한편, 세 후보 측 대리인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경선 룰 협상을 이어 갔지만, 별다른 합의점에 도달하진 못했다.
손 전 대표 측은 선거인단 명부 없이 100% 현장 투표로 치러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안 전 대표 측은 모바일 투표는 물론 여론조사 반영도 주장했다. 천 전 대표 측은 결선투표제 도입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용호 대선기획단 부단장이 선거인단 모집 없이 현장 투표를 원칙으로 하되 당원을 상대로는 자동응답전화(ARS) 투표를 허용하는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각 대리인이 수용하지 않았다.
각 주자 측은 애초 정한 협상 마감일인 28일에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지만, 기한 내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을지 불투명해 보인다.
ljungberg@yna.co.kr
(끝)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2/27//PYH20170227477000054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