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4대강 사업이 진행된 경기도 여주시 남한강 이포보∼여주보 주변 강바닥에서 조개류와 어류 집단폐사 현상이 나타나 환경단체와 어민들이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03//AKR20170303087800061_01_i.jpg)
여주환경운동연합, 여주시어업인자율관리공동체는 3일 여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한국수자원공사가 수질 개선을 위해 지난달 20일부터 시험방류를 하면서 남한강 수위가 급격히 낮아져 다슬기와 조개 등 어패류가 집단폐사하고 닻 모양의 쇳덩이 100여 개가 강바닥에서 나오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대책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당국의 갑작스러운 방류로 이포보 상류 지역은 평시 수위보다 1.7m 낮아졌고 강 면적 3분의 2가 일시에 바닥을 드러내 강바닥에 자생, 양식하던 다슬기를 비롯한 어패류들이 물길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집단 폐사하는 원인이 됐다"고 주장했다.
어업인자율관리공동체 관계자는 "산란기 시기에 다슬기가 폐사하고 성패 및 새끼조개가 전멸하는 생태계 피해가 발생했다"며 "어족 자원 고갈로 어민들은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28일 능서면 내양리 강가에서 한 어민은 30분 만에 수거한 폐사 어패류를 20∼30㎏ 포대에 가득 채웠을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이들 환경단체와 어민은 피해규모가 강 면적 1㎡당 다슬기 등 어패류 1천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들은 죽은 다슬기를 수중에 방치한 채로 담수할 경우 막대한 양의 다슬기 및 패류 사체로 물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새끼조개 및 산란을 할 수 없는 수생태 환경으로 변해 2천500만 수도권 시민들의 상수원 오염과 어민들의 경제적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03//AKR20170303087800061_02_i.jpg)
이에 따라 폐사한 어패류가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수거하고, 인명피해 요인인 수중 철골구조물을 즉시 제거할 것을 정부 당국에 촉구했다.
또 어패류 폐사 피해를 공동 조사한뒤 보상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수자원공사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유관기관은 현장조사를 벌여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aonnu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