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獨·英 정부간 치열한 '일자리 지키기' 경쟁 시동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푸조와 시트로앵 브랜드를 지닌 프랑스 자동차그룹 PSA그룹(Groupe PSA)이 오는 6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독일 오펠(Opel) 인수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외신들이 3일 보도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af/2017/03/04//PAF20170304087001034_P2.jpg)
AFP통신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PSA그룹 이사회가 이날 인수안을 승인했다면서 공식 발표가 6일 나올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PSA그룹의 오펠 인수는 영국에 공장들을 둔 오펠의 계열사 '복스홀(Vauxhall)'도 포함된다.
프랑스 PSA그룹, 독일 오펠, 영국 복스홀 등 관련 3개국 노조들도 이날 인수안에 관해 설명을 들었다고 FT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전했다.
이번 인수는 GM의 유럽시장 완전 철수를 뜻한다. 2013년 쉐보레 브랜드를 유럽에서 철수한 바 있는 GM은 1999년 이후 적자를 지속하는 오펠 매각도 추진해왔다.
반면 PSA그룹은 세계 3위의 자동차그룹으로 도약한다.
FT는 오펠의 퇴직연금 적자분 처리, 전기자동차 기술 라이센싱, 미국 등 특정시장에서의 PSA그룹과 GM 간 경쟁 회피 등이 쟁점들로서 이중 특히 70억달러(약 8조1천억원)인 오펠의 퇴직연금 적자분 인수 여부가 가장 까다로운 쟁점이라고 전했다.
복스홀 역시 10억파운드(약 1조4천억원)의 퇴직연금 적자분을 안고 있다.
인수안이 오펠과 복스홀의 퇴직연금 부족분 처리 방안을 담을 가능성이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관측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etc/af/2017/02/15//PAF20170215174401034_P2.jpg)
가디언은 인수 발표는 프랑스, 독일, 영국 등 3개국 정부가 자국 내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치열한 전투에 들어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오펠 전체 종업원 3만5천명 가운데 절반가량이 독일에 있다. 영국 복스홀에는 4천500명이 일하고 있다.
가디언은 PSA그룹이 오펠과 복스홀을 인수하면서 그룹 전체적으로 연간 20억유로(약 2조4천억원) 비용절감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FT는 오펠의 종업권과 공장들의 미래가 '비용절감'으로 유명한 PSA그룹의 손에 놓이게 된다고 했다.
카를로스 타바레스 PSA그룹 회장은 이미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그레그 클라크 기업부 장관, 영국 노조단체인 '유나이트' 관계자 등과 만나 인수안에 관해 의견을 나눈 바 있다.
타베레스 회장은 이 자리에서 PSA그룹이 공장 문을 닫은 전례가 없다면서 복스홀 공장들이 현재 확보한 생산물량을 유지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는 복스홀 공장들이 적어도 2021년까진 유지된다는 뜻이라고 가디언은 풀이했다.
하지만 빈스 케이블 전 기업부 장관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는 복스홀 공장의 생산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케이블 전 장관은 독일 정부가 오펠 생산인력과 공장 유지를 위해 적극적인 로비전을 펼칠 것 같다면서 EU 탈퇴라는 불확실성을 안고 있는 영국 정부로선 독일 정부과 비교해 더 나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디언은 영국 정부가 일본 자동차업체 닛산이 영국의 EU 탈퇴를 이유로 유보했던 자국내 선덜랜드 공장 추가 투자계획을 애초 계획대로 확정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했던 것과 유사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7/02/18//PEP20170218007901034_P2.jpg)
jungw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