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에 불리한 도쿄도 의원 선거 전 선수 칠 가능성
아베 3연임 63% 찬성…76% "모리토모 학원 이사장 국회 소환해야"
(도쿄=연합뉴스) 김정선 김병규 특파원 = 일본 여당인 자민당의 당 규정 개정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장기집권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자민당 내에서 올해 4월 중의원 해산설이 부각되고 있다고 일본 언론이 6일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아베 총리의 3연임에 일본인 63%가 찬성하지만, 최근 아베 정권의 발목을 잡는 '국유지 헐값매각 의혹'의 핵심 관계자를 국회로 소환해야 한다는 의견에 76%가 동의해 주목된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자민당의 2인자인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간사장은 지난달 중순 복수의 당 간부와 직원에게 중의원 조기 해산에 따른 준비를 하라고 지시했다. 이 지시에 "항상 전쟁 중", "일절 타협하지 않는다"는 문구도 포함됐다.
산케이는 복수의 총리 측근들도 "현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현재 논의 중인 2017년도) 예산성립 직후 중의원을 해산해야 한다"며 말한 것으로 전했다.높은 지지율을 구가하는 아베 총리는 총선거로 개헌 우호세력을 확보해 개헌을 추진하려 계획 중이다.
이를 통해 '일본이 전쟁과 무력행사를 포기한다'고 규정한 헌법 9조의 개정을 통해 '전쟁 가능한 보통국가'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ap/2017/02/11//PAP20170211059101034_P2.jpg)
당초 하반기로 예상되던 총선거가 상반기에 실시된다면 개헌 추진 일정도 그만큼 앞당겨질 가능성이 크다.
자민당 내에서 이처럼 조기 중의원 해산설이 확산하는 것은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쿄도지사의 인기 상승과 관계가 있어 보인다.
아베 총리에게 강력한 대항마로 부상하는 고이케 지사의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7월 2일 치러질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자민당의 패배 가능성도 점쳐진다. 문제는 도쿄도의회 선거가 전국 단위의 선거 결과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자민당은 2009년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패배한 이후 중의원 선거에서도 져서 야당이었던 민주당(현 민진당)에게 정권을 넘겨준 뼈아픈 기억이 있다.
현재 여론은 아베 총리에게 우호적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지난달 24~26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그가 3연임을 해 2021년 9월까지 총리직을 계속하는 것에 63%가 찬성했다.
차기 총리로 적합한 인물로도 아베 총리(21%)가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의 아들인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郞) 자민당 농림부회장과 고이케 도쿄도 지사가 각각 16%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18~39세에서 아베 총리를 꼽은 비율이 40%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60대에선 고이케 지사가 1위였다.
니혼게이자이는 아베 내각 지지율이 2013년 4월에 76%로 가장 높았지만 2015년 7월에는 38%까지 낮아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유(U)자형'을 나타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아베 총리 측근인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자민당 간사장 대행은 이러한 비결에 대해 "라이벌이 나오지 않도록 하는 인사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포스트 아베'로 불리는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중의원을 2014년 권한이 크지 않은 지방창생담당상으로 앉혔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베 총리 부인 아키에(昭惠) 여사가 관련돼 이른바 '아키에 스캔들'로 불리는 국유지 헐값 매각의혹에 대한 여론은 싸늘한 편이어서 아베 측을 긴장시키고 있다.
TBS 계열 매체인 JNN이 6일 밝힌 여론조사에선 가고이케 야스노리(籠池泰典) 모리토모(森友) 학원 이사장 등을 국회에 참고인으로 소환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76%에 달했다.
아키에 여사가 해당 초등학교 명예교장직을 맡았던 것에 대해선 78%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아베 내각 지지율은 전월보다 4.4% 포인트 감소한 61%였다. 지지율은 2개월 연속 하락했다.
모리토모 학원이 아베 총리의 이름을 딴 초등학교를 짓는다며 모금활동을 했고 이 법인이 정부와 수의계약을 통해 헐값에 부지를 매입했다는 의혹은 이제 정권 로비 의혹까지 더해져 아베 정권의 발목을 잡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3/06//PYH2017030609440034000_P2.jpg)
b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