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호 진술로 차명폰 드러나…이영선 행정관이 개설해 배분
(서울=연합뉴스) 이보배 기자 =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박근혜 대통령이 '40년 지기' 최순실(61·구속기소)씨와 차명 휴대전화로 핫라인을 유지했다고 결론 내렸다.
6일 특검 수사 결과에 따르면 최씨와 박 대통령의 차명폰 존재를 찾아내는 데는 최씨 조카 장시호(38·구속기소)씨 진술이 결정적이었다.
장씨는 1월 특검 조사에서 "작년 10월 26일 최씨 요청으로 어머니 최순득이 윤전추 청와대 행정관의 차명폰으로 박 대통령과 최씨 입국에 대해 협의한 적이 있다"고 진술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oldyna/YH/2007/11/01//PYH2007110102280001300_P2.jpg)
이후 특검은 최순득씨 명의 휴대전화 분석을 통해 윤 행정관 차명폰 번호를 확인했고,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박 대통령, 최씨, '문고리 3인방' 안봉근·이재만·정호성 전 비서관, 윤 행정관, 이영선 행정관만 연락을 주고받는 차명폰 번호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2/20//PYH2017022027110001300_P2.jpg)
윤 행정관이 차명폰을 통해 가장 많이 통화한 번호의 주인은 최씨였다.
발신 기지국 대부분이 강남구 청담동 최씨 오피스텔 인근이었다. 독일 출국 이후인 작년 9월 5일부터는 유럽 통신사 보다폰(vodafone)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 최씨의 독일, 일본, 미얀마 출국 일자와 해당 지역 로밍서비스 사용 내역이 일치했다.
최씨가 차명폰 통화한 횟수가 가장 많은 상대는 박 대통령이었다. 박 대통령의 차명폰 발신 기지국은 모두 '청와대 관저'였다.
해외 순방 기간에는 출·입국 당일을 제외하고는 어김없이 국내 발신 내역이 전무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2/01//PYH2017020124260001300_P2.jpg)
정호성(48·구속기소) 전 부속비서관도 해당 번호가 최씨와 박 대통령의 차명폰 번호가 맞는다고 인정했다.
박 대통령과 최씨가 차명폰으로 통화한 횟수는 2016년 4월 18일∼10월 26일 국내외에서 총 573회로 조사됐다.
특히 국정농단 의혹이 일파만파 커지며 최씨가 독일로 출국한 작년 9월 3일부터 검찰 조사를 받으러 귀국한 10월 30일까지는 127회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2/25//PYH2017022516580001300_P2.jpg)
박 대통령, 최씨, 문고리 3인방 등만 사용하는 차명폰은 이영선 행정관이 2013년 10월부터 작년 10월까지 부천의 한 대리점에서 총 52대를 개설해 수개월에 한 번씩 나눠준 것으로 조사됐다.
bobae@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2/28//PYH20170228326900013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