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손학규·천정배 접점찾기 난항…당지도부, 현장투표 준비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국민의당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룰 협상이 10일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선고일마저 넘겼다.
조기대선 레이스가 시작된 가운데 경선 스케줄조차 못 잡고 당내 갈등만 커져 후보들의 본선 경쟁력마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천정배 전 대표는 이날 오전까지 대리인 간 물밑협상을 지속했지만, 접점을 찾는 데 실패했다.
안 전 대표 측은 룰 협상 2차 시한이었던 지난 8일 당 중재안을 반영한 수정 제안을 하며 손 전 대표 측을 압박했다.
'현장투표 40%·여론조사 30%·공론조사 30%' 주장에서 한 발 물러서 선거인단 명부를 작성하고 조속히 후보를 뽑는 조건으로 '현장투표 75%·여론조사 25%'의 당 중재안을 수용하기로 한 것이다.
손 전 대표측은 그러나 선거인 명부 작성이 애초 합의한 오픈 프라이머리(개방형 완전국민경선제) 원칙을 깨는 것이라며 안 전 대표 측의 제안을 일축했다.
손 전 대표는 전날 광주 KBS 라디오에 출연해 "여론조사, 전화로 하는 것은 선거로 안 된다는 생각"이라며 여론조사를 포함한 경선 룰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천 전 대표 측은 선거관리위원회 회의에서 "안 전 대표 측의 요구대로 당원 명부를 선거인단 명부로 차용하는 건 위법 소지가 있다"는 뜻을 전했다고 한다.

당 지도부는 룰 협상과는 별개로 현장투표 준비에 나섰다.
박지원 대표는 이날 투·개표 관리 업체 측의 경선 시스템 시연을 참관하고 21일까지는 관련 장비를 완비할 계획이다. 일단 별도 선거인단 없이 보통 유권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식을 준비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이제 대리인단 협상은 의미가 없어졌다"며 "결국 박 대표가 후보들을 직접 압박하는 수밖에 없다. 박 대표의 의지에 따라 스케줄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룰조차 정하지 못한 국민의당과 달리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월24일 경선 룰을 마련했다.
cla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