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결정으로 전북도가 올해 역점을 둬 추진하는 '2023 세계잼버리대회 새만금 유치'에 경고등이 켜졌다.
경쟁국인 폴란드의 전·현직 대통령이 대회 유치전에 뛰어든 것과 달리 한국은 당분간 대통령의 유치 활동이나 도움을 사실상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최국은 올해 8월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 총회에서 163개국 회원국의 투표로 결정되는데, 2015년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전북도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11//AKR20170311023800055_01_i.jpg)
전 세계 5만여명의 청소년들이 참가하는 이 잼버리대회는 8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기대되는 대규모 국제행사다.
이 때문에 폴란드는 전 대통령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레흐 바웬사가 5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투표를 앞두고 각국 지도자들에게 서한을 보내는 등 적극적인 득표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폴란드의 대회 유치지인 그단스크는 바웬사가 자유노조 민주화운동을 시작한 곳으로, 국제적으로 새만금보다 인지도가 높은 게 사실이다.
이에 전북도는 지난해 박 전 대통령이 '안전' 등에 대한 약속을 담은 보증서 성격의 서한문을 각국에 보내줄 것을 내심 기대했다.
하지만 전날 탄핵 결정으로 박 전 대통령의 지원사격은 고사하고 대외이미지와 국가 신뢰도마저 하락, 자칫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로 이어져 대회 유치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11//AKR20170311023800055_02_i.jpg)
그동안 전북도는 아프리카·유럽·중동·중남미 등에서 열린 지역별 잼버리 총회에 참석해 새만금 유치 홍보활동을 펼쳤다.
이원택 전북도 대외협력국장은 "대회 결정이 임박했는데 현실적으로 대통령의 지원을 받을 수 없어 폴란드와 경쟁에서 불리하지만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와 기획재정부, 한국스카우트연맹 등 민관과 긴밀히 협력해 반드시 대회를 유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ic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