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금통위 횟수 줄여 이달 금통위 안 열려
국정 공백 속 금융시장 충격받으면 신속 대응 차질 우려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기자 = 대통령 탄핵이라는 국정 공백 상황 속에 금융시장에 폭풍을 몰고 올 수 있는 미국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지만, 이달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는 개최되지 않고 총재의 기자회견도 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3일 한국은행과 금융시장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14∼1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최근 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이 잇따라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기 때문에 금융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FOMC의 결과는 우리 시간으로 16일 오전에 열리는 금융시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현재로썬 미국 금리 인상이 예상된 재료여서 국내 금융시장에 큰 충격이 발생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하지만 연준이 미국 경제의 전망이나 향후 금리 인상 속도 등에 관해 어떤 신호를 주느냐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거릴 수 있다.
각국 중앙은행은 물론 전 세계 금융시장이 연준의 FOMC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결과를 숨죽여 지켜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FOMC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와 금융시장과 자국 내 경제 상황에 충격이 우려될 경우 신속하게 대응조치를 취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사시 기준금리 조정 등의 조처를 해야 할 이달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는 열리지 않는다.
올해부터 기준금리를 논의하고 결정하는 금통위 횟수를 12번에서 8번으로 줄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오는 23일에 금통위가 열리긴 하지만 이는 기준금리를 결정하지 않고 금융안정상황을 점검하는 회의다. 기준금리를 논의·결정하는 금통위는 다음 달 13일에나 예정돼있다.
물론 긴급 금통위를 개최할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대응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금통위 횟수 축소는 미국 통화정책 방향의 영향을 고려하고 대응하기 위해 조절한 것이며 23일 열리는 금융안정상황 점검회의에서 금융시장의 상황을 점검하고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달엔 한은이 금융시장과 소통할 기회인 총재의 기자회견도 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23일 금융안정상황 점검회의 이후 총재의 기자회견 대신 담당 부총재보(이사)가 주요 논의사항과 점검내용을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기 때문이다.
한은은 총재 기자회견 취소가 아직 확정되진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취소가 확정되면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미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이후 달라진 금융시장 상황과 이에 대한 대처방향, 국내 경기영향 등에 대한 총재의 견해를 들을 수 없게 된다.
중앙은행 총재의 기자회견은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서 금융시장에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시그널(신호)을 주고 시장과 소통함으로써 통화정책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 때문에 금융시장에서는 올해 극심한 경기침체와 중국의 사드 배치 관련 경제보복, 미국의 금리 인상과 보호무역주의 등 악재가 산적한 상황에서 한은 총재의 소통기회마저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5일부터 해외출장을 떠나기 때문에 FOMC 결과가 발표되는 16일엔 자리를 비우게 된다.
독일과 스위스에서 각각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와 국제결제은행(BIS) 중앙은행 총재회의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이번 G20 회의는 이 총재뿐 아니라 유일호 경제부총리도 참석하기 때문에 재정과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두 수장이 모두 자리를 비우게 된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시장 관계자는 "해외출장이나 금통위는 이미 정해진 것이어서 어쩔 수 없다 해도 총재가 시장과 소통할 기회가 줄어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hoon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