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5.9 대선'이 유력시되면서 후보 확정을 위한 각 정당의 움직임도 가속화하고 있다. 다음 달 초를 전후해 후보 윤곽이 드러나게 되면 대선전은 본격적인 국면으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바른정당은 이달 28일, 자유한국당은 31일, 국민의당은 4월 5일 각각 대선후보를 결정한다. 더불어민주당은 4월 3일이나 8일이 될 듯하다. 정의당은 심상정 대표를 후보로 선출해 놨다. 이후 일정은 5월 9일 대선을 기준으로 할 때 4월 11∼15일 선거인 명부작성, 4월 15∼16일 후보자 등록 신청, 4월 25∼30일 재외투표소 투표, 5월 4∼5일 사전투표 등을 거치게 된다. 이미 대선 출마를 선언한 후보들도 상당수 있지만, 대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거나 아직 대선 출마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인사들까지 합하면 대략 20명가량 후보군을 형성할 것 같다. 정당별 경선 과정을 거쳐 후보군이 대폭 압축되겠지만, 일단 후보 난립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셈이다.
대통령 탄핵도 사상 초유지만, 이번과 같은 급조 대선도 처음 겪는 일이다. 과거처럼 심도 있는 대선 준비를 할 겨를이 없는 데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 촉박한 일정에 쫓긴 부실 대선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 대선 후보군 가운데 상당수는 후보 등판의 기본조건이라 할 수 있는 공약이나 정책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정권인수위 가동 없이 곧바로 대통령 직무를 개시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자칫 역대 최악의 '깜깜이 선거'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선 이후의 후유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질 만한 상황인 것이다.
차기 정부 앞에 놓인 파고는 엄중하다. 날로 가중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조기배치에 따른 극심한 이해관계의 충돌, 국내·외에 잠복해 있는 경제 위기의 암초들, 탄핵과정에서 깊어진 보수·진보진영 간 대립과 갈등, 조기개헌을 둘러싼 논란 등 풀어야 할 난제가 한둘이 아니다. 국가 명운을 가를 중대한 시기인 만큼 리더십 선택의 중요성은 더 이상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이번 대선 과정에서 후보들의 비전과 자질, 국정운영 능력, 도덕성 등에 대해 치열한 검증을 해야 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더욱이 우리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대통령 탄핵이라는 뼈저린 실패의 교훈을 갖고 있다.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한 차원 높은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승화시키지 못할 경우 미래는 절망적일 수밖에 없다.
후보를 제대로 뽑자는 것은 누구나 동의하는 대원칙이다. 다만 방법이 문제다. 대선이 급박하다고 해서 후보검증을 소홀히 하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선 시간 제약을 탓하기 앞서, 어떻게 짧은 기간에 밀도 있는 검증을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무엇보다 유권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편향 없는 열린 마음으로 후보 개개인에 대해 객관적인 현미경 검증을 하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후보 토론회도 개선이 필요할 것 같다. 정해진 룰에 얽매이기보다 각 후보의 장·단점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후보 간 무제한 자유토론 등의 도입을 검토할 만하다. 후보들의 공약·정책을 분야별로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유권자들에게 알리는 각계 전문가들의 지식 참여도 절실하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