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300억원 들여 여수산단에 공장 건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한화케미칼(사장 김창범)은 1천300억원을 투자해 전남 여수 국가산업단지 내 사업장에 공장을 추가로 짓고 '수첨(수소 첨가) 석유수지' 사업에 진출한다고 15일 밝혔다.
수첨 석유수지란 에틸렌(C2)이나 프로필렌(C3)처럼 납사 열분해 과정에서 생산되는 유분의 일종인 'C5'로 만든 석유수지에 수소를 첨가한 것이다.
무색·무취·무독성의 특성을 띠어 기저귀, 생리대 등 위생제품용 접착제나 산업용 접착제의 원료로 주로 사용된다.
한화케미칼은 2019년 생산 개시를 목표로 연산 5만t 규모의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의 수첨 석유수지 주요 생산업체는 이스트만, 엑슨모빌 등이다. 지난해 세계 시장 규모는 약 40만t 수준인데 매년 7%가량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 시장의 경우 인구 증가와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위생용품 시장의 성장 속도가 빨라 연평균 10% 이상씩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제품 특성상 시장 수요가 다양하고 트렌드 변화가 빨라 맞춤형 제품 개발능력이 필수적이며, 수소 첨가 공정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해 진입 장벽이 높은 대신 경기 변동에는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다양한 조건에 맞춰 접착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응용기술을 확보했다"며 "또 계열사인 여천NCC와 장기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원료(C5) 공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수첨 공정의 핵심인 촉매기술을 자립화해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춰 범용제품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한화케미칼은 설명했다.
한화케미칼은 이번 공장 신설을 통해 기존 접착제용 수지 사업과의 시너지를 강화하는 한편 수첨 석유수지 시장 글로벌 1위에 오른다는 목표다.
또 기존의 에틸렌 중심 사업에서 C5 유분 활용 사업에 진출함으로써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앞으로도 다양한 특화제품 시장에 계속 진출할 계획이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