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이 5년간 난민수용소에 갇혀 살아온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의 자유를 보장할 것을 제안했다고 현지 언론이 17일 보도했다.
아난 전 사무총장은 미얀마 최고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의 요청으로 지난해 8월부터 로힝야족 문제 해결을 위한 자문위원회를 이끌며, 로힝야족 주요 거주지인 서부 라카인주(州)의 종교 및 민족 갈등 해소 방안을 마련해왔다.
아난 전 사무총장이 이끄는 자문위원회는 전날 양곤에서 그동안의 활동을 정리한 잠정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라카인주에 있는 모든 난민 캠프를 폐쇄하고, 로힝야족 난민의 자유를 보장할 것을 제안했다.
로힝야족은 불교도 중심의 미얀마에서 정식 국민 대접을 받지 못한 채 차별과 박해를 받고 있다.
특히 지난 2012년 불교도와 이슬람교도의 유혈 충돌 이후에는 12만명 가량의 로힝야족 난민이 수용소에 갇힌 채 이동의 자유를 박탈당한 것은 물론 교육, 보건 등 기본적인 서비스도 제공받지 못한채 살고 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아난 전 사무총장은 한 외신과 전화 통화에서 "미얀마가 수용소를 폐쇄하고 난민들을 정식 시민으로 등록해 이동의 자유를 보장해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또 로힝야족이 원래의 거주지로 돌아가 정착할 수 있도록 안전 보장 등이 이뤄져야 하며, 투명한 절차를 통해 이들을 정식 국민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제안도 보고서에 담았다.
그뿐만 아니라 위원회는 '인종 청소' 논란을 빚고 있는 미얀마군의 로힝야족 주거지역 군사작전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도 지지한다고 밝혔다.
아난 전 총장이 이끄는 자문위에서 위원으로 활동해온 가산 살라메는 "아난 위원회는 라카인주에서 벌어진 폭력사태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지지한다"며 "그 이상의 일은 위원회 소관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미얀마군과 경찰은 지난해 10월 방글라데시와 접경한 라카인주 마웅토에서 괴한의 경찰초소 습격 사건이 발생한 이후 무장세력 토벌을 빌미로 대규모 군사작전에 나섰으며, 이 과정에서 7만5천명에 달하는 난민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군인들이 민간인을 학살하고 성폭행과 방화 등을 일삼으며 이른바 '인종 청소'를 유도했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지만, 수치가 이끄는 미얀마 정부는 이런 주장을 일축해왔다.
이양희(61, 성균관대 교수) 유엔 미얀마 인권 특별보고관은 최근 미얀마군의 로힝야족 탄압을 반인권범죄로 규정하고 그 수치가 이끄는 미얀마 정부에 책임이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이어 유엔 인권이사회(UNHRC) 총회에서는 이런 미얀마군의 행위가 '인종 청소'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인권이사회 차원의 조사와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17//AKR20170317051100076_02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17//AKR20170317051100076_03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17//AKR20170317051100076_01_i.jpg)
meol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